728x90
반응형



얼마전 위챗에서 중국인 친구의 모멘트에 재미있는 사진이 실렸습니다. 



대략 뜻은 '한국드라마, 자막을 보면 마치 시골의 러브스토리를 보는것 같네.. 이런 동북사투리...' 


이 정도 뜻이 되네요..


저는 무슨 말인가 해서 자막을 자세히 보니 정말 그럴듯한 말이었습니다.


그래서 바이두에 한국드라마와 동북사투리 관련 내용이 얼마나 있는지를 찾아보았습니다.

 

그랬더니 일부 한국 드라마에서 동북사투리로 자막이 나오는 짤(?)을 봤습니다.


그럼 왜 중국에서 방영되는 한국드라마에 이런 일이 발생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번역 인력의 현지화 문제


지인의 초청으로 저도 가끔 드라마 촬영 현장을 방문할 때가 있었는데요. 한중합작 드라마의 경우 번역/통역의 역할이 매우 중요합니다. 그래서 스탭은 물론이고 배우 한명 한명의 통역 스탭이 배치되어 있습니다. 그렇게 해야만 시간을 지체하지 않고 촬영을 바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그래도 꽤 시간이 걸리는 일이죠..


그런데 현지의 통역인력을 보면 대부분 조선족 교포들이 통역일을 하고 있습니다. 우선, 인력이 많이 있고, 한중수교이후 꾸준히 한국과 중국의 가교 역할을 했으며, 이 분야에 오래 종사한 사람들이 많이 있습니다. 


저는 이 교포 분들이 문제라는 말은 아니고요, 이 분들이 살았던 배경에 문제가 있다는 말을 하려고 합니다.


조선족 교포 = 동북지역 거주


여기서 드라마 자막의 문제가 시작됩니다.


중국의 인구 분포를 잠깐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위에 그림은 중국의 56개 소수민족 중 주요 소수민족을 나타낸 것입니다. 왼쪽 아래보면 중국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한족을 제외한 55개 민족인 1억 1379만명 중에 분포를 나타낸다고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이 소수민족 가운데 조선족은 대부분 동북삼성지역인 요녕성, 길림성, 흑룡강성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물론 베이징이나 상하이, 기타 지역에 사는 조선족들도 있지만 극소수에 불과하고, 일부는 한중수교 이후 한국기업들과 함께 대도시 밑 남부 지역으로 가기는 했지만, 고향은 대부분 여전히 동북삼성지역입니다.


그래서 현재 한국과 관련된 일을 하는 사람들 중 많은 사람들이 조선족의 중국어인 동북사투리를 배우면서 그들과 함께 일을 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우리가 알고있는 표준 중국어, 즉 보통화와 동북 사투리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2. 중국어와 동북사투리(Chinese language and dialect)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중국 표준어는 보통화(普通話)라고 부르지만, 사실은 중국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한족의 언어인 한어(漢語)라고 부르는게 더 적절한 표현입니다. 실제로 중국에서도 중국어(Chinese language)를 한어(Mandarin Chinese)라고 가르치고 중국어교재도 한어교재라고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중국어에는 한어(Mandarin Chinese), 광동화(Cantonese), 상해화(Shanghainese), 민난화(Minnan language), 동북화 등등 사투리 모두를 포함하는 개념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한어는 중국어의 한 가지이지요.


그렇다면 이 한어와 일반 중국어는 어떻게 다른 것인가?


한어는 한족의 언어인 만큼, 한족의 분포가 차지하는 만큼이 바로 한어입니다.


우리가 학교에서 한문시간에 잠시 배웠던 기억이 있는데요...(참, 요즘에는 학교에서 한문을 거의 배우지 않는다고 하던데요..) , 5천년의 역사와 함께 중국 한자가 흘러올 수 있었던 이유는 워낙 중국지역이 넓은데다가, 서로 발음의 차이가 심해서 구두로 하는 말은 잘 알아듣기가 어려웠기 때문에 글자를 적어서 그 뜻을 통용하여 썼었다라고 배웠던 기억이 있습니다.


지금도 중국에서 TV 나 영화를 보면 중국 영화나 방송인데도 불구하고 밑에 반드시 자막을 넣어서 방송을 하고 있습니다. 워낙 넓은 지역인데다가 중국어의 발음이 다르기 때문에 이를 보조하기 위해서 자막을 넣는게 현실인 것 같습니다(물론 소수민족에게 중국어를 보급한다는 취지도 있지만, 이건 별로 큰 동기는 아닌 것 같습니다)


아무튼, 중국에는 같은 한어, 즉 중국어라고 해도 지역에 따라 천차만별입니다.


중국의 대표적인 사투리(방언) 에 대해 잠시 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대표적인 지역 언어로는 우리가 흔히 홍콩말로 알고 있는 광동화(廣東話)입니다.


광동화는 9개의 성조로 구성되어 있고, 우리가 알고 있는 표준중국어와 문법도 완전히 다르고, 심지어 쓰는 단어도 다릅니다.


그리고, 두번째로는 민난화(閩南話) 라는 북건성과 대만에서 쓰는 사투리입니다.


이 쪽 언어도 매우 특이한데 중국의 공산화 이후 대륙에서 넘어간 많은 국민당 사람들과 중국인들로 대만에서도 우리가 흔히 듣고 알고 있는 중국어를 국어로 쓰고 있지만, 민난화도 허용하고, 방송에서도 자주 쓰고 있습니다.


심지어 민난화 전용 프로그램도 있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만큼 지역에 대한 지방색이 강한거죠.


그리고, 제가 살았던 지역인 상해에도 상해화(上海話) 라고 해서 지역의 언어가 있습니다. 


상해 방송에는 가끔 상해사투리를 자유자재로 사용하는 외국인들이 나와서 토론을 하기도 하는데, 중국어만 배우기도 어려운 저에게 현지 사투리까지 자유자재로 구사하는 외국인들을 보고 자극을 받았던 기억이 납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동북화(東北話)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오늘의 핵심 주제이니까요.


동북화의 경우는 우리가 알고 있는 보통화와 비슷합니다. 바이두 사전을 찾아보았더니 대략 이런 뜻으로 나오네요.


东北官话很接近普通话,比如哈尔滨方言(北京话与普通话之间则有相当明显的区别:过多的儿化音、北京话特有的方言词等等)。
外地人印象中的东北话其实往往是辽宁一些地区的“东北话”,比吉林和黑龙江的口音腔调重得多。锦州话特点最明显的是一句话尾音上扬。虽然东北各地的口音腔调有些许不同,但这种不同只是“东北味”的深浅有无,并没有词汇用语的不同,也没有较大的变音变声。


대략 번역을 하면, 


동북화는 보통화(한어) 와 비슷하고, 하얼빈 사투리의 경우 등이다. (북경어와 보통화 사이에도 명확한 구별이 있습니다. 얼화가 있고, 북경 특유의 단어 등이 있다)


 외지인의 생각에 동북화는 사실 요녕 일대에서 쓰는 동북화로 볼 수 있고, 길림과 흑룡강성에서의 억양이 강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진저우화의 경우 특히 문장의 끝을 올려서 발음한다. 비록, 동북 각 지역의 억양이 제각각이지만, 이러한 각각의 다름이 동북풍(東北味) 의 느낌을 주는 것이고, 단어 사용에서의 차이나 발음의 변화는 크게 없다.


라고 나와있습니다. 즉, 억양의 차이일 뿐이지, 위에서 언급했던 광동화나 상해말처럼 단어가 다르거나 문법이 다른 정도의 심각한 수준은 아니라는 겁니다.


그런데 역설적으로 여기에서 우리가 생각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 같습니다. 동북사람들의 경우는 자신들의 중국어가 당연히 표준어라고 생각하고 있기 때문에(실제로도 큰 차이가 없기 때문에) 대부분의 언어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조선족 교포의 경우는 어릴 때부터 부모나 그 윗세대를 통해 한국어를 배우면서 학교에서 중국어를 배우기 때문에 그러한 경향이 더욱 두드러지는 것 같습니다. 그들이 배우는 중국어는 대다수 학교에서 배운 것이기 때문에 표준어라고 생각을 하는 것이죠.


이해를 돕기 위해 우리나라와 비슷하게 생각을 해보면 우리나라 전라도나 경상도에서 국어시간을 생각해보면 대략 비슷한 느낌이지 않을까 합니다. 학교의 국어시간에는 당연히 책을 읽을 때도 표준어로 읽고, 표준 단어를 사용하겠지만, 읽을때의 그 지역의 억양은 쉽게 사라지지 않고, 수업이 끝나면 바로 사투리를 사용하는 것과 마찬가지이지요.


그런데 이런 번역들이 동북지역에 국한되지 않고, 중국 전역, 나아가서는 중화권 전체로 뻗어나가기 때문에 문제가 있는 겁니다.


제가 느끼기에 중국도 언어의 역사성이라는 것이 존재합니다. 어릴 때 배운 역사성이라는 것은 '시대의 변화에 따라 그들이 사용하는 언어나 표현이 다르다' 라는 것인데요, 


이렇기 때문에 현재 중국에서 젊은 층이 사용하는 언어의 대부분은 베이징과 상하이 등 대도시를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대학교들도 많이 있고, 아무래도 대도시에는 젊은 층이 많기 때문이겠죠.


그래서, 이런 드라마들이 방송될 때 더더욱 젊은 층에서는 재미있게 이 상황을 지켜보는 것 같습니다.


최근 한국 드라마와 문화 컨텐츠의 진출이 더욱더 활발해 지고있고 그 영역이 방송 전 영역으로 가고 있는 상황에서 이런 현상은 재미있으면서도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조금 더 주의깊게 살펴보아야 할 이슈라고 생각을 합니다.


3. 그렇다면 해결 방안은 무엇일까?


저는 크게 2가지의 해결 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먼저는 우리나라에서 공부하고 있는 약 7만명의 중국인 유학생 들입니다. 이 친구들 중에 물론 조선족 교포가 상당수 이기는 하지만, 대도시의 한족 친구들도 많이 유학을 와서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이 친구들이 현지로 돌아가면 대부분은 한국과 관련된 일을 하게 되는데 이 때 방송이나 미디어 관련 분야에서 종사하게 하는 건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지역차별이나 어떤 차별이 존재하며 안 되긴 하겠지만, 양질의 컨텐츠 제공이라는 입장에서 봤을 때 미디어의 경우는 가급적 중소 이하의 지역에서 보다는 대도시 출신을 선호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또 하나는 우리나라에서 또한 중국에서 저처럼 중국어를 배운 수많은 한국인을 활용하는 것입니다. 중국 진입 초기에는 조선족 교포나 중국인의 임금이 월등히 저렴했기 때문에 가성비를 고려해 어쩔 수 없이 교포나 중국인과 일을 했지만, 요즘 보면 별로 차이가 없거나 어느 영역에서는 중국인의 임금이 우리를 추월한 경우도 종종 발견되고 있습니다.


아직 문화부분에서는 두드러지지는 않지만, 어느 정도 훈련하고, 특히 우리 드라마의 현실과 뉘앙스를 제대로 전달할 수 있도록 꾸준히 연습을 한다면 적확하고 정확한 단어로 제대로된 표현을 잘 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저 역시 베이징에서 7년을 있었고, 상해에 3년을 있었는데 지금 쓰고 있는 중국어를 보면 남방 지역의 발음을 사용하면서 쓰는 단어는 가끔 북경의 단어들을 쓴다고 중국 친구들이 저에게 얘기할 때가 있습니다. 그래서 처음 보는 중국인은 한참 얘기를 하다가 왕왕 저에게 '그런데 어느 지역 출신 사람입니까?(어느 지역 중국인인가요?) ' 라고 물어올 때가 있습니다. 그만큼 중국인들 끼리도 서로의 발음 차이가 심하기 때문에 왠만한 사투리의 경우(동북 등 특이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감안 해서 대화를 하는게 보통입니다.


그리고 우리나라와 중국에서 외국어로 중국어를 배우고 있는 많은 중국어 수강생들이 과연 표준 중국어도 제대로 배우기에 오랜 시간이 걸리는데 그 많은 사투리들의 차이를 제대로 이해하고 적확한 단어를 사용할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이 있기는 하지만, 지금과 같이 중국어가 인기 있는 외국어가 되고, 많은 사람들이 연구하고 발전시킨 다면 우리나라에서도 표준어와 사투리의 차이를 명확하게 구분해 내는 인재들이 배출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중국 친구가 올린 사진 몇 장으로 이렇게 긴 이야기가 나오게 되었네요.


앞으로도 우리나라의 컨텐츠가 해외에 더 널리 많이 알려지고, 정확한 표현과 방법으로 더 발전하기를 기대해 봅니다.


- <MR. DOH>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