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2016년 하반기였다.

한창 피크에 오르던 한중관계가 어디까지 갈지 다들 궁금해하던 그런 분위기였다.

양국은 2천년이 넘는 역사에서 이렇게 좋은 때가 없었다며 서로를 추켜세웠다.

아직도 그  때를 추억하면 잊을 수가 없다. 

그러다 갑자기...

싸드로 인해 양국 관계는 삽시간에 얼어붙었다. 특히 활발하게 교류하던 경제 분야에서 그 타격이 가장 컸다. 

당시의 중국의 조치들은 (내가 생각나는) 주로 이런 것들이었다.

1) 한국 컨텐츠 금지 (방송, 출연, 제작 등)

  중국에서 한류컨텐츠가 훨훨 날아다니던 시절이 있었다. 무려 중국의 대표적인 국무회의인 양회에서 한국 드라마의 영향력을 어떻게 해야할지 논의했다는 내용이 공개적으로 언급될 정도였으니 말이다. 

중국 정치행사서 “왜 ‘별그대’ 같은 드라마 못 만드나”  (https://m.khan.co.kr/world/china/article/201403071644451#c2b)

게다가 시진핑 주석이 한국에서 별그대를 추켜세우며 양국 관계의 파이팅을 다지곤 했었다. 이 모든 일들이 불과 10년이 채 되지 않는다.

시진핑 서울대 강연서 별그대 언급 "한류 드라마는 중국서 큰 유행"(https://www.ajunews.com/view/20140704171452580)

그러나 이 모든 일들이 마치 신기루처럼 한순간에 사라졌다. 중국은 한국 컨텐츠에 대한 위협요소를 언급하면서 2016년 가을쯤(9월 정도 였다) 갑자기 한류 컨텐츠의 중국 방송은 물론 중국 방송에 출연하는 한국인의 출연 금지, 중국인의 합작 금지 등의 조치인 '한한령' 을 단행했다. 송송커플이 탄생했던 '당시 최고의 히트작 태양의 후예를 끝으로 한류 컨텐츠는 중국에서 방송 금지 조치가 된다. 

심지어 이 일들이 공식적인 루트가 아닌 방송총국에 의해 진행됐다는 말도 안되는 얘기들이 몇달간 관계자들의 마음을 졸이게 만들었다.  이 일은 내가 기억하는 한 중국의 가장 큰 조치였고, 아직도 유효하다.  

코로나 직전 한류 컨텐츠를 약간 풀려고 한다는 소식들이 간간이 있었고, 그래서 2022년에는 아이치이가 한국에 컨텐츠 바잉 매니저를 적극 채용하여 중국에서 다시 한국 컨텐츠가 재개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얘기들이 있었지만, 아직까지는 이렇다할 내용들이 없다. 한국에서 드라마와 영화 몇 편이 공식적으로 상영되었지만, 그 역시 이벤트성에 그친 내용들이었다. 2023년 8월 현재까지도 중국에서 한국 컨텐츠를 공식적으로 접하기는 매우 어렵고(물론 다양한 불법 사이트, 앱, 루트들이 열려있기는 하다) 당시 한국 컨텐츠 바이어를 적극 채용했던 아이치이의 경우도 글로벌 사이트(틱톡이 중국판과 해외판이 있듯이 아이치이도 중국 사이트와 글로벌 사이트가 다르게 운영되고 있다. ) 에서 한국 컨텐츠를 접할 수 있지만 이 역시 중국 국내에서 접근하는 루트는 아니다. 

2) 중국 단체관광 불허

이것도 몸소 체험한 일이 있어서 기억이 아주 생생한 편이다. 당시는 2017년 초였다. 사실 한한령을 이후로 안그래도 뒤숭숭했던 양국 관계에 기름을 껸졌던 놀라운 일이었다. 그 이전해 까지만 해도, 아니 직전인 설연휴까지만 해도 아직 한중 관계는 굳건하다고 중국에서 수만명이 한번에 오는 단체관광을 예로 들며 다양한 분석의 기사들이 쏟아져나오고 있던 시기였다. 

'춘절쾌락(春節快樂)' 서울시내 점령한 14만 유커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692486615801984&mediaCodeNo=257) 

단체관광이 왜 중국인들에게 큰 의미가 있는지 잠깐 설명을 할 필요가 있다. 중국은 사회주의국가이다. 즉, 이동이 제한되어 있다. 해외여행 역시 마찬가지다. 그래서 중국인은 여권을 발급받는 일이 생각보다 쉽지 않다. 중국에서 여권을 발급받으려면 본인의 신원이 확실해야 하고, 안정적인 수입을 증명해야 하고, 이것저것 다양한 일종의 서약 같은 것도 해야 한다(요즘은 어떤지 모르겠는데 예전엔 여권을 내기 위해 신원담보인, 보증금? 같은 것들도 필요하다고 들은 적이 있다)

아무튼, 이렇게 어렵게 여권을 내고 해외로 나가기 위해선 해당국가의 비자를 받아야 하는데 이 역시 만만치가 않다. 우리 나라의 경우도 중국인에게 비자를 발급해줄 때 일종의 보증금 같은걸 요구하고 그에 따른 여권의 기한에 차등을 주는 것으로 알고 있다. 그래서 이 또한 여간 부담이 되는 것이 아니다. 

아무튼, 이러한 제약들을 해결하기 좋은 방법이 있는데 바로 단체 관광을 신청하는 것이다. 단체 관광을 신청하면 여권은 물론 단체비자를 사용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비자 문제도 간단히 해결이 된다. 여행사가 담보를 서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해외를 자주 다니지 않는 중국인들은 단체 관광을 통해 해외 방문을 주로 했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단체 관광을 제한했으니 한국에 오는 여행객이 눈에 띄게 줄어드는 것은 어찌보면 매우 당연한 일이었다. 그래서 그 영향으로 한국의 여행사, 호텔, 면세점은 물론이고 주요 관광지의 식당, 소매점 등이 직격탄을 받았었던 것이다. 명동을 가보면 알겠지만, 그 여파는 아직도 유효하다. 최근 비었던 상가들이 속속 들어차고 있다고는 하지만 일부 대기업 또는 글로벌 기업이 상권 회복을 기대하고 입점을 하고 있는 터라 예전과 같은 활기를 다시 한 번 기대할 수 있을지는 개인적으로 의문이다. (한국적인 색채가 많이 바뀌었다). 또한, 중국인의 소비 성향도 그 때와는 매우 달라졌다. 지금은 예전과 같은 대량의 싹쓸이 구매가 많이 줄어들었고, 중국인들도 나름 합리적인 소비자로 바뀌었기 때문에 예전과 같은 어마어마한 효과를 다시 볼 수 있을지는 뚜껑을 열어봐야 알 수 있을 것이다. 

3) 한국(기업, 상품 등)에 투자 제한

개인적으로는 이 일이 매우 충격적이었다. 중국은 60-70년대 이래저래 어려움을 겪고 나서 등소평의 개혁개방을 통해 경제성장을 견인했던 것이 해외투자유치 라는 것을 누구보다도 잘 알고 있는 국가이다. 특히, 초기에 진입했던 글로벌 기업은 물론 많은 한국기업들도 초기에 투자해서 꽤 큰 성과를 누렸다는 것을 경험으로 알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갑자기 한국 기업에 대한 투자는 물론 합작 등에 제한을 단행했다. 그 시기는 사실 약간 복잡한 시기이기는 했다. 시진핑 2기가 막 시작하는 시기였고, 당시에 시진핑 주석의 입지를 다지기 위해 반부패 운동을 시작하면서 해외에 자본 유출을 제한하거나 소위 '돈세탁'을 방지 하기 위해 많은 정부 관료들을 문책하기도 했었다. 그 흐름에 맞추어 중국에서도 해외로 자본을 빼돌리거나 해외에서 과소비를 한 사람들을 처벌하는 내용의 방송들이 제작되기도 했었고, 아무튼, 그런 시기적 배경이 있었긴 했다. 그렇다고는 해도 극단적으로 투자를 갑자기 막는 일은 정말 당황스러울 수 밖에 없었다. 특히 글로벌 기업은 물론 중국의 투자가 한창 이슈였던 국내 스타트업 업계에서도 이런 일은 놀라울 뿐이었다. 게다가 그건 일시적인 현상이 아니었다. 지속적인 해외 투자 제한은 물론 중국 현지에서의 한국 기업과의 합작,합자 제한 등이 빈번히 발생하면서 한국 기업의 입지가 급속도로 좁아지고 위축되었다.

4) 중국 현지의 한국 제품 불매

 좀 뜬금없긴 했지만, 갑자기 한국 제품의 불매운동이 이곳저곳에서 벌어졌었다. 몇년 전에 일본 제품에 대한 불매운동이 불같이 일어나면서 길에 다니던 일본 자동차를 부수거나 일본 매장을 훼손하는 등의 일이 발생하기는 했지만 한국 기업들을 대상으로는 처음 일어나는 일이었다. 우리도 일본 제품 불매운동을 보면서 '일본은 그럴만 하지, 우린 중재자 역할이니 다행이다' 라며 위안했던 기억이 있다. 그러다가 한국 제품은 물론 한국 기업에 대한 불매운동이 이러나자 한국 기업이 급속도로 위축되었다. 아주 대표적인 사례가 몇 가지 있는데, 중국에서 한창 잘나가던 현대자동차라던지(이건 중국인의 소득 향상과 트렌드의 변화 측면에서도 이유가 있지만),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등이 대표적이었다. 유통업체로는 특히 롯데그룹의 타격이 가장 컸다. 내피셜로 듣기에 롯데의 신격호 전 회장은 물론 신동빈 회장역시 중국을 제2의 한국시장이라며 엄청난 투자 (수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들었다)를 지속적으로 확대했었다. 그러다가 한 순간에 투자가 급속도로 얼어붙고, 급기야는 중국 심양 지역에서 짓고 있던 롯데월드 역시 중단되어 결국은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철수하게 되는 말도 안되는 상황도 발생했었다.

中 선양 '롯데시티' 개발사업, 빚잔치만 남았다 (https://www.asiae.co.kr/article/2021032515510089132)

 

요즘 중국의 유커가 돌아온다는 말로 증시는 물론 언론이 갑자기 흥분한 것 같아 나도 잠시 그 때 그 시절을 회상하면서 단체관광 뿐 아니라 다양한 일들이 있었다는 것을 다시 한 번 정리하게 되었고, 단체관광이 회복되었으니, 다른 것들도 순차적으로 다 회복되어서 양국이 활발하게 교류하는 그런 시절이 다시 오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 뿐이다. (난 정치나 외교인은 아니므로 그 쪽 일은 전문가 분들이 잘 풀어주시길 기대해본다)

반응형
728x90
반응형

 

 

"몰래 보면서 할 건 다하네"…'우영우' 호평 쏟아낸 中

신드롬급 인기를 얻고 있는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가 중국에서도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다만 중국에서는 드라마가 정식 유통이 되지 않고 있는 바, 불법 경로를 이용한 중국의 '도둑

n.news.naver.com

이런 기사들이 요즘 자주 눈에 띄고 있다...

중국이 불법(정식 계약을 통한 유통이 아닌 모든 방식)으로 컨텐츠 본게 어디 하루이틀 얘기인가...

나 역시 10여년 전 중국에서 아이폰 등 스마트폰이 등장할 무렵, 인터넷과 스마트폰을 통해 굉장히 열려있던 중국의 수많은 동영상 사이트들을 접했고, 신나서 블로그에 올렸던 적도 있다. 물론, 중국의 불법적인 영상 유통에 대한 내용도 언급했었다. 

참조) https://monsieurdoh.tistory.com/60

 

'중국 동영상 스트리밍 사이트'로 마음껏 미드/일드/중드 를 보자!

※ 본 게시물은 해당 사이트와 전혀 직접적 관련이 없고, 개인적인 의견만을 기고한 것입니다. 그 동안 나만 좋은 소스로 보는 것 같아, 약간 대국민적인 미안함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오늘 괜

monsieurdoh.tistory.com

 

지금은 중국의 탑 동영상 사이트들 IQIYI, YOUKU, TENCENT TV 는 이미 불법 동영상 사이트들과는 차원이 다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실례로 싸드 전에는 수백억씩을 한국 컨텐츠에 투자했었고, 국내에 사전 제작이라는 좋은 방안을 도입하게 해주었다는 것, 그로 인해 넷플릭스 같은 외국계 플랫폼이 들어올 수 있도록 발판을 마련해 주었다는 점, 그리고 드라마 제작에 수십억 투자도 많다고 했던 시대에 수백억씩을 투자하며 판을 키워줬던 점 등이 그나마 장점이라면 장점이라고 할 수 있겠다. (물론 이런 일이 가능했던 것은 중국의 지적재산권에 대한 인식 향상과, 수많은 회원수, 그리고 나름의 경쟁 구도에서 찾을 수 있겠다)

중요한건 이런 플랫폼들은 유료사이트이고 이미 중국의 규제를 강력히 받고 있지만, 맨 위의 기사에서 언급한 수십 여개의 불법 사이트들은 그러한 규제를 아마 잘 피하고 있으며, 거의 전세계의 컨텐츠가 무차별적으로 무료로 스트리밍되고 있다는 것이다. 심지어 우리나라에서도 볼 수 있도록! (좀 큰 플랫폼은 해외에서 보기 어렵도록 프록시 등을 통해 해외시청을 규제하고 있긴 하다, 그래도 볼 수 있는 방법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돌아와서 맨 위의 기사를 읽으면서 드는 나름의 2가지 생각이 들어서 언급하고자 한다. 불법은 당연히 나쁜 것이고, 당연히 강력히 규제를 받아야 한다. 그리고 가능하면 우리 컨텐츠 판권사들도 똘똘 뭉쳐서 강력히 법적 제제를 했으면 하는 바램이다. 그런데 이게 뭐 돈이 한두푼 드는 일도 아니고, 돈을 들여서 법적 제제를 가한다고 한들 쉽게 없어지는 것도 아니고, 시간적으로도 꽤 긴 싸움이 될 것이다. 하지만, 이 중에서 그래도 굳이 순기능(?)을 찾아보자면 이 2가지가 있을 것 같다.

1) 불법 컨텐츠로 인해 오리지널 컨텐츠로의 유입이 가능해진다(!)

    - 불법의 역설이랄까! , 우리나라 뿐 아니라 전세계 모든 제품의 짝퉁, 즉 샨짜이(山寨) 버전을 만들어 내는 중국이고, 이미 자기들도 짝퉁 시시하다고 할 정도로 넘쳐났던 시기가 있었다.

  내가 접했던 한 화장품 브랜드는 중국 매출이 약 90% 였고 ,국내 매출을 합쳐서 약 1천억원 수준의 꽤 규모 있는 회사였다. 문제는 중국의 짝퉁 규모가 대략 7~8배 수준으로 같은 화장품의 짝퉁 매출이 7~8천억원 수준이었던 것이다.

  그런데 더 재밌는건 그 사람들의 반응이었다.(물론 직접 들은건 아니고, 관련 업계 사람들을 통해서 들은 것이다) 자신 들이 짝퉁을 그렇게 많이 팔았기 때문에 오리지널 제품이 그래도 1천억원 수준의 매출을 올릴 수 있는 것이라는 말이었다. 처음엔 '이게 무슨 말도 안되는 소리인가?' 하다가 굳이 논리를 찾으라면 이런 것이다. 자신들이 짝퉁을 팔아줘서 브랜드 인지도가 생기고, 무엇보다 짝퉁 제품을 쓰다가 가격 차이도 얼마 안나고 퀄리티도 괜찮아보이는 오리지널 제품으로 전환되는 경우도 많다는 것이다. 

  비단 화장품 뿐 아니라 컨텐츠도 비슷한 경우가 있다. 처음엔 짤이나 불법 컨텐츠로 보다가, 자막이나 화면의 퀄리티, 소장하고 싶은 생각 등으로 오리지널 플랫폼으로 옮겨서 소장하고, 다시 시청하는 경우가 꽤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이러한 경우를 생각해보면 십분 양보해서 그래도 효과라면 효과라고 생각한다. 

두번째는 개인적으로 꽤 설득력이 있는 얘기라고 생각하는데, 

2) 북한 처럼 컨텐츠가 들어갈 수 없는 나라에서도 유통이 가능할 수 있다! 라는 점이다. 

  중국에서 CD 로 한국 드라마가 한창 불법으로 카피되어 유통되고 있을 때 최대 수혜국은 다름 아닌 38선 너머의 윗동네 사람들이었다. 중국인들이야 인기 있는 드라마 몇 편 정도 보는 수준이었고, 당시만 해도 일부 매니아만 보던 그런 드라마였는데, 북한 사람들은 비디오 보다는 훨씬 휴대가 간편하고 중국에서 구하기도 쉬운 CD, DVD를 통해 한국드라마를 접할 기회가 훨씬 많아졌다. 그러면서 자연스럽게 한국에 대한 동경과 기대가 생기게 되고, 공식적인 통계는 찾아봐야겠지만, 이러한 직간접적인 영향으로 탈북민도 꽤 많이 생겨난 것으로 알고 있다. 요즘은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과거와 같은 유형의 증거물(?) 이 사라졌기 때문에 인터넷이 가능한 환경이라면 누구나 손쉽게 한국의 수많은 컨텐츠를 접할 수 있다. 얼마전 아카데미 상을 받은 영화 '기생충' 도 북한에서 꽤 많은 사람들이 암암리에 봤다고 들었는데 이런 소기의 성과는 중국의 불법 컨텐츠 플랫폼이 큰 역할을 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우리나라가 글로벌로 컨텐츠 강국이 된건 문득 생각해도 참 신기하고 앞으로도 이런 일이 꽤 지속될 것이라고 생각이 들지만, 이 과정은 더 험난하고, 어려울 것이다. 

  불법 컨텐츠 유통의 근절과 판권에 대한 인식 전환이 이뤄지려면 앞으로도 꽤 시간이 필요하겠지만, 그럼에도 우리는 지속적인 양질의 컨텐츠를 생산해 우리는 물론 전세계 사람들에게 꾸준히 알려지기를 기대해본다! 

<MR.DOH> 

 

 

반응형
728x90
반응형

마블의 샹치(샹치는 尚氣 ShangQi의 중국어 발음 표기법을 사용한 것으로 기가 솟아오르다 라는 뜻이라고 한다) 가 개봉을 했다.

포스터를 보면 양조위가 주연같다. 물론 드물게 악역을 맡게된 주인공으로 나온다. 그런데 영화를 보면 악역이 아닌 것 같다는 얘기도 있다(아직 안 봐서... 보면 업데이트 할게요)
이 포스터를 보면서, 예고편을 보면서 정작 중국에서 양조위가 촬영한 영화가 중국 정세의 변화와 코로나로 인해 수차례 개봉을 연기하다가 이제는 과연 개봉을 할 수 있을까 생각이 드는 영화가 떠올랐다.
바로 중국 본토 영화인 여우사냥 (Fox Hunt, 猎狐行动) 이다.
여우 사냥이라는 말은 중국 공산당이 부정부패한 고위 간부 또는 유명인사가 해외로 도피했을 때 쫒아가서 검거해오는 일종의 검거작전을 지칭하는 말이다.

양조위와 똰이홍이 주연을 하고, 나름 프랑스 현지 로케이션도 진행한 대작이었다. 특히, 이 작품은 수년 전에 기획단계에서 한국 영화 <베를린>에서 많은 아이디어를 얻어서 베를린을 촬영했던 스탭이 일부 참여하기도 하고 개인적으로도 제작 부분에 일부 참여하게 되어서 알게된 작품이다.
스토리는 비교적 간단하다. 중국의 경찰, 공안인 똰이홍이 해외로 자금을 빼돌리고 호화로운 도피생활을 하고 있는 양조위를 잡으러 간다는 단순한 영화이다.
오늘 하고 싶은 얘기는 이 영화는 제작 과정이 매우 길었다는 점이다. 기획은 이미 수년 전 (대략 2015년도 전후로 생각된다)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중국도 해외 로케이션을 통한 대작을 촬영하고자 거대 제작비를 투자하고, 꽤 큰 기획으로 출발했다. 그리고 감독도 처음엔 '무간도' 를 성공시킨 홍콩 감독으로 선정했었다. 하지만, 대본이나 스토리가 생각보다 완성되지 않았고, 어떤 이유에선지 감독이 계속 하차를 하면서 촬영이 차일피일 미뤄지게 되었다.
그러다가 최종적으로 지금의 감독 장리쟈(张力嘉) 라는 비교적 신예 감독이 메가폰을 잡게 되었다. 작품의 스케일이나 제작자(제작은 상해영화그룹에서 했는데 중국에 2개 있는 국영 영화그룹인 중국영화그룹과 양대산맥인 공기업이다)에 비해선 비교적 덜 유명한 감독이다. 감독 개인의 입장에서는 좋은 기회이겠지만.
아무튼 우여곡절 끝에 2019년도에 거액의 제작비가 투입되고, 스토리도 어느 정도 확정이 되고, 무엇보다 중국 공안당국이 제작에 참여(?) 하는 등 나름 이 영화에 정부가 개입을 하면서 빠르게 진행이 되고, 작품도 어느 정도 마무리가 되었다. 그래서 처음엔 2020년도 1월에 개봉을 한다고 했었는데, 이런? 천재지변이 발생했다. 2019년도 12월 우한에서 코로나 바이러스가 시작되어 중국의 영화 대목인 춘절 연휴 기간에 이동이 제한되고, 물론 극장도 다 폐쇄됐었다. 게다가 후반작업을 한국에서 진행했는데 제작사 쪽의 문제로 마무리도 잘 되지 않았다. 결국, 처음엔 후반작업이 미비해 개봉을 연기한다는 발표를 한다.
하지만, 1차 연기 이후, 5월이나 6월까지도 후반 작업이 잘 마무리 되지 않다가, 결국 2020년 7월경 중국에 코로나 사태가 어느 정도 진정이 되고, 나름 정부에서 코로나 종식(?) 이라는 발표도 하면서 다시 개봉을 하게 될 줄 알았는데, 그 역시도 무산되었다. 내부적인 이슈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코로나 종식과는 별개로 극장이 아직 활성화되지 못하고, 내용에서도 이런저런 이슈들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아무튼, 올 해 초 2021년도 1월에 드디어 개봉을 하겠다고 선언도 하고, 나름 예고편도 발표하고, 양조위와 똰이홍이 잡지에도 인터뷰도 하면서 홍보를 좀 하는 듯 하였으나, 결국 이번엔 이유도 말하지 않고 상황이 나아지면 개봉하겠다는 당황스러운 말을 남기고 개봉을 무기한 연기했다.

여우사냥의 예고편 영상

개인적으로 우여곡절이 많은 작품이기도 하고, 일부 참여도 한 작품이라 이슈가 어찌되었던 한 번은 보고 싶은 영화였는데 언제 보게 될지 기약이 없게 되었다.

이런 작품이 비단 여우사냥 뿐만은 아니다. 개인적으로 지인이 참여한 중국의 드라마로 한중합작 드라마로는 스케일이 꽤 컸던 작품인 비취연인(翡翠恋人) 이 생각났다.
이 작품에는 제작에 참여한건 아니지만, 어쩌다 보니 지인이 무려 2명이나 참여했던 드라마이다. 정작 모두가 중국인이지만...


이 작품은 무려 이종석과 요즘 중국에서 해외 출산/탈세 등으로 유명세를 나타내고 있는 정솽이라는 배우가 주연을 하고 개인적으로 알게된 까오런(뒤쪽 오른쪽)에 있는 배우도 출연을 한 나름 대작 드라마였다.
배우들도 유명한 배우고, 나름 꽤 스케일이 큰 드라마였는데, 작품을 발표하기 바로 직전 그 유명한 싸드 사태가 발발했다. 그 이후 중국 광전총국에서는 왜 인지는 모르겠지만, 즉시 한국 연예인의 중국 활동을 다 금지했고(아직도 공식적으로는 자기들은 그런적이 없다고 하지만, 이 제재는 자신들이 발송한 문서로도 남아있다) 그 최대의 수혜로 이 드라마가 즉시 무기한 상영 연기라는 조치가 취해졌다.
사실, 그 당시만 해도 얼마 안갈거다, 국제 정세 때문에 발생한 일이라 1년이면 될 거다 등 여러 의견들이 있었고, 그래도 조만간 해결되고 다시 재개될 기대감이 있었는데, 그게 벌써 어언 5년 전 일이 되어 버렸다(2016년도 하반기였으니)
아무튼, 이제는 정말 이종석의 출연도 그렇고, 무엇보다 정솽이 큰 사고를 치는 바람에 이 드라마도 영영 볼 수 없게 되어 버릴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 아쉬움에 나마 여기에 올려서 잠시 감상해본다.

개인적으로 알고 있는 작품들은 겨우 이 정도이지만, 아무도 모르게 정치적/국제적/사회적 이슈로 빛을 보지 못하는 수많은 작품들이 더 있을것 같아, 콘텐츠를 사랑하는 한 사람으로 매우 아쉬운 마음이 든다.

반응형
728x90
반응형

중국은 아시는 분은 아시다시피, 해외 사이트 특히 글로벌 포털, 동영상 플랫폼 등 많은 해외 사이트가 차단되어 있다.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인스타그램 같은 SNS는 물론 유튜브 같은 동영상 사이트, 구글이나 네이버 같은 검색엔진도 차단되어 있는 폐쇄적인 곳이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모든 중국인들이 이런 해외 사이트를 사용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 페이스북이나 인스타그램을 봐도 꽤 많은 중국인들이 계정을 사용하고 있고, 원하는 사람들은 카카오톡이나 라인, 페북 채팅 같은 글로벌 메신저 프로그램들도 자주 사용한다. (물론 이걸 사용하려면 VPN을 쓸 줄 알아야 한다.)

 

중국도 얼마전부터 모바일 5G 서비스를 시작했다. (우리나라도 마찬가지지만 진짜 5G가 되려면 아직 멀었을 거다) 4G 보다는 그래도 조금이라도 빠른 속도를 기대해본다. 속도가 빨라지면 단순히 빠른 속도에만 만족하는 게 아니다. 중국의 동영상 플랫폼들, 특히 아이치이(IQIYI), 유쿠(YOUKU) 등은 2010년 언저리에 아이폰을 필두로 스마트폰이 도입되면서 확대되기 시작하여 LTE가 상용화되자 꽃을 피웠다. 그 혜택을 제일 많이 받은 플랫폼이 아마 틱톡(중국명 : 抖音 Douyin) 일 것이다. 틱톡이 1분 컷으로 동영상을 자른 것은 물론 사람들이 지루해하는 요인도 있겠지만, 모바일 속도가 매우 중요한 이슈다(로딩하는데 적정하면서도 내용을 담을 수 있는 속도).

 

또 하나는 무제한 요금제의 등장이다. 과거에는 Wi-Fi 가 있는 곳에서 데이터를 다운받거나 동영상을 접속해야 했기 때문에 사용자나 실시간 동시접속 등이 상대적으로 저조했지만 요즘은 우리나라도 데이터 무제한이고 중국도 무제한 데이터를 서비스하기 시작해서 스마트폰이 받쳐주는 한 어디서나 동영상을 볼 수 있는 시대로 변화되었다. (과거에는 드라마나 영화 같은 동영상을 Wi-Fi 가 있는 곳에서 다운받아 놓고 오프라인 상태에서 동영상을 봤다. 그래야 데이터 과금이 되지 않으므로)

 

아무튼, 최근 중국에 오래 거주했던 지인을 만났었는데 중국에선 유튜브나 인스타를 잘 보기가 어렵다고 말한 것을 들었다. 중국인들도 잘 사용하지 않는다며. 물론 우리나라처럼 유튜브나 인스타, 페이스북이 전국민의 SNS는 아니겠지만, 내가 아는 지인들도 그렇고 아직도 꽤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다. (구글이나 페북에게는 중국은 미개척지다. 골드 러시를 하러 갈 준비가 언제든 되어 있다는 말이다) 

 

그래서 난 호기심이 생겼다. 개인들은 그렇다고 치지만, 중국 기업들도 유튜브나 페이스북을 하지 않을까? 그래서 유튜브에서 중국 기업들을 찾기 시작했다. 내 블로그에서 가장 인기가 많았던 글인 중국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 관련 내용도 업데이트할 겸 유튜브에서 업체별로 하나하나 찾아보기로 했다. 요즘 중국에서 가장 잘 나가는 동영상 스트리밍 플랫폼인 아이치이(IQIYI, 爱奇艺), 유쿠(YOUKU, 优酷), 텐센트TV (Tencent WeTV,腾讯视频)

그럼 텐센트TV 부터 보도록 하겠다.

텐센트TV 의 유튜브 공식 계정

 

텐센트 TV 는 중국 울트라 최강 플랫폼인 위챗(Wechat 微信) 메신저와 QQ.com 사이트를 기반으로 수억 명의 회원을 갖고 있는 포털사이트와 SNS 기반의 동영상 플랫폼이다. 위챗 유저가 약 7억 명인데 반해 텐센트TV 수는 좀 떨어지기는 하지만, 월간액티브유저수가 최근 자료에서는 아이치이와 유쿠를 제치고 중국 1위를 기록했다. 

중국 미디어 플랫폼 월간액티브유저수 통계(2020년 6월 기준)

 어마어마하다. 역시. 텐센트TV 의 월간액티브유저가 무려 3.85억 명으로 중국 1위, 유쿠는 3.81억 명, 아이치이가 3.44억 명으로 3위다.

중국 플랫폼 유료회원수

유료회원은 텐센트가 2019년 6월 기준으로 약 9690만명, 2020년도를 지나면서 1억명을 초과한 것으로 나오고 아이치이 역시 1억명을 초과한 유료회원을 보유하고 있다. 어마어마하다. 

우리나라에서 넷플릭스가 어마어마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고는 하지만, 국내 넷플릭스의 가입자수가 불과 336만 명 수준이고 전 세계적으로 봐도 올해(2021년) 초에 2억 명을 넘은 수준이다. 

살짝 국내 미디어 제작 업계에 발을 담그고 있는 내 입장에서도 중국이 사드와 코로나로 왕래가 거의 없어지긴 했지만 우리에겐 정말 어마어마한 시장이기는 한 것이다.

 아무튼, 유튜브에는 텐센트TV의 구독자수가 약 477만 명으로 중국 내 플랫폼에 비해서는 미미한 수준이지만, 꽤 많은 구독자수를 나타내고 있다. 

 

대부분의 중국 플랫폼들이 마찬가지지만, 텐센트TV 역시 자체 제작하는 컨텐츠들이 늘어남에 따라 자체 제작 컨텐츠들을 위주로 업로드를 하고 있고, 중국에서는 유료로 볼 수 있는 컨텐츠들을 아마 중국 밖 해외 유튜브 유저들에게는 무료로 보여주는 것 같다. (광고수익이 꽤 있을 테니)

2021년도 2월 현재 업로드되어 있는 동영상이 무려 25,660개... 정말 컨텐츠는 어마어마하게 많다.

텐센트 TV 메인 페이지에 들어가서 채널을 보면 다양한 언어로도 서비스하고 있는데 그중 한국 관련 서비스가 있어서 들어가 보았다. 싸드와 한한령, 최근 코로나까지 한중 관계로 인한 엔터 업계의 교류가 많지 않은 상황이지만, 중국 기업들도 나름 한국 고객들을 소중히 여기고 있는 것 같은 느낌적인 느낌이 들었다. 

텐센트TV가 운영중인 유튜브 채널 목록

채널 목록에 보면 하단에 WeTV Korea 라고 해서 한국어 버전의 서비스도 하고 있다. 들어가 보니 한국어 서비스를 하고 있고 동영상에도 한국어 자막을 상세히 달아놓아서 보는데는 문제가 없어 보인다. 

TV에서 보기 힘든 중국 오리지널 컨텐츠 들도 있으니 찾아보시면 재미있을 듯하다.

 

그럼 두 번째로 유쿠를 보자. 

유쿠 채널 소개

유쿠 역시 구독자가 무려 164만 명이다. 중국에서 유튜브가 접속되지 않는 것을 감안하면 어마어마한 숫자라고 생각된다. 물론 해외에 중국어 컨텐츠를 소비하는 사람들이 많겠지만 감안해도 많은 숫자이다. 동영상은 무려 21,864개. 대부분 드라마, 예능, 영화 등 이겠지만, 중국의 컨텐츠 제한을 생각하면 꽤 많은 숫자라고 생각된다. 

유쿠도 대부분 예능이나 드라마 등의 컨텐츠를 업로드 해 놓았다. 아쉽게도 텐센트TV 처럼 한국어 자막 서비스는 제공하지 않았다. 하지만 자막을 켜면 영어로 볼 수 있는 컨텐츠들이 드문드문 보인다. 

유쿠는 총 5개의 채널을 운영하는데 유쿠 메인 채널을 비롯해 유쿠 영화, 유쿠 카툰, 유쿠 다큐멘터리, 유쿠 키즈 등이다. 

영화라고 해봐야 중국 오리지널 영화가 많지 않지만, 최신작들의 예고편도 간간히 올려준다. 

정보 칸을 클릭해보니 중국 유쿠는 가입을 2015년도에 했다. 벌써 6년 차인 유튜버였던 것이다. 꽤 많은 조회수도 그렇고, 꾸준히 업로드를 한 것 같다. (참고로 텐센트TV는 2016년도 2월에 계정을 오픈했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에서 태양의 후예 등을 투자하고 유일하게 한국에도 법인을 설립해 최근 한국 드라마 들에 투자도 하고 있는 아이치이를 보도록 하자. 

글로벌에 치중하는 비중이 높은 아이치이는 유튜브에서도 많은 구독자수인 254만 명을 보유하고 있다. 다만 동영상수는 상대적으로 적은 4452개에 불과하다. (상대적으로 적은 것이다...)

아이치이 역시 대부분 드라마나 예능을 중심으로 컨텐츠를 업로드하는 양상이다. 2015년도부터 아이치이 국제판이라고 명칭해 서비스를 시작했다. 

 아이치이가 운영하는 채널은 대부분 동남아시아나 아랍 쪽에 치중되어 있다. 아이치이가 판권구매를 할 때 동남아까지 포함해서 구매한다고 들었는데 그래서인지 나라별로 나누어놓았다. 짤막하게 TW 대만도 보인다. 

아이치이는 국내에서 유독 한국 컨텐츠에 투자를 많이 하고 한국을 사랑하는 중국 플랫폼으로 유명하다. 과감하게 돈도 쓰고, 또 쓴 만큼 투자회수도 했었던 아이치이다. 한국드라마로 중국에서 성장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래서인지 유일하게 한국드라마 섹션을 별도로 구분해 최근 구매하는 한국드라마에 대해서 클립 형태로 업로드를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밖에도 망고TV, 피리피리(bilibili) 등 많은 플랫폼의 유튜브 채널을 찾아볼 수 있는데 그동안 중국 컨텐츠를 제한적으로 보셨던 분들이나 산발적으로 보셨던 분들은 시간 되실 때 한 번씩 보시면 재미있을 듯 하다. 특히, 중국 정부에서 글로벌 플랫폼에 대한 제재가 매우 강하지만 역시 비지니스 하는 플랫폼들은 아랑곳하지 않고 유튜브는 물론 깨알같이 트위터, 인스타, 페북 페이지도 운영하고 있는 걸로 보아 해외 진출의 염원이 매우 간절해 보이기도 한다. 

중국 컨텐츠와 관련해 질문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환영합니다. <MR. DOH>

반응형
728x90
반응형



얼마전 위챗에서 중국인 친구의 모멘트에 재미있는 사진이 실렸습니다. 



대략 뜻은 '한국드라마, 자막을 보면 마치 시골의 러브스토리를 보는것 같네.. 이런 동북사투리...' 


이 정도 뜻이 되네요..


저는 무슨 말인가 해서 자막을 자세히 보니 정말 그럴듯한 말이었습니다.


그래서 바이두에 한국드라마와 동북사투리 관련 내용이 얼마나 있는지를 찾아보았습니다.

 

그랬더니 일부 한국 드라마에서 동북사투리로 자막이 나오는 짤(?)을 봤습니다.


그럼 왜 중국에서 방영되는 한국드라마에 이런 일이 발생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번역 인력의 현지화 문제


지인의 초청으로 저도 가끔 드라마 촬영 현장을 방문할 때가 있었는데요. 한중합작 드라마의 경우 번역/통역의 역할이 매우 중요합니다. 그래서 스탭은 물론이고 배우 한명 한명의 통역 스탭이 배치되어 있습니다. 그렇게 해야만 시간을 지체하지 않고 촬영을 바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그래도 꽤 시간이 걸리는 일이죠..


그런데 현지의 통역인력을 보면 대부분 조선족 교포들이 통역일을 하고 있습니다. 우선, 인력이 많이 있고, 한중수교이후 꾸준히 한국과 중국의 가교 역할을 했으며, 이 분야에 오래 종사한 사람들이 많이 있습니다. 


저는 이 교포 분들이 문제라는 말은 아니고요, 이 분들이 살았던 배경에 문제가 있다는 말을 하려고 합니다.


조선족 교포 = 동북지역 거주


여기서 드라마 자막의 문제가 시작됩니다.


중국의 인구 분포를 잠깐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위에 그림은 중국의 56개 소수민족 중 주요 소수민족을 나타낸 것입니다. 왼쪽 아래보면 중국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한족을 제외한 55개 민족인 1억 1379만명 중에 분포를 나타낸다고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이 소수민족 가운데 조선족은 대부분 동북삼성지역인 요녕성, 길림성, 흑룡강성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물론 베이징이나 상하이, 기타 지역에 사는 조선족들도 있지만 극소수에 불과하고, 일부는 한중수교 이후 한국기업들과 함께 대도시 밑 남부 지역으로 가기는 했지만, 고향은 대부분 여전히 동북삼성지역입니다.


그래서 현재 한국과 관련된 일을 하는 사람들 중 많은 사람들이 조선족의 중국어인 동북사투리를 배우면서 그들과 함께 일을 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우리가 알고있는 표준 중국어, 즉 보통화와 동북 사투리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2. 중국어와 동북사투리(Chinese language and dialect)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중국 표준어는 보통화(普通話)라고 부르지만, 사실은 중국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한족의 언어인 한어(漢語)라고 부르는게 더 적절한 표현입니다. 실제로 중국에서도 중국어(Chinese language)를 한어(Mandarin Chinese)라고 가르치고 중국어교재도 한어교재라고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중국어에는 한어(Mandarin Chinese), 광동화(Cantonese), 상해화(Shanghainese), 민난화(Minnan language), 동북화 등등 사투리 모두를 포함하는 개념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한어는 중국어의 한 가지이지요.


그렇다면 이 한어와 일반 중국어는 어떻게 다른 것인가?


한어는 한족의 언어인 만큼, 한족의 분포가 차지하는 만큼이 바로 한어입니다.


우리가 학교에서 한문시간에 잠시 배웠던 기억이 있는데요...(참, 요즘에는 학교에서 한문을 거의 배우지 않는다고 하던데요..) , 5천년의 역사와 함께 중국 한자가 흘러올 수 있었던 이유는 워낙 중국지역이 넓은데다가, 서로 발음의 차이가 심해서 구두로 하는 말은 잘 알아듣기가 어려웠기 때문에 글자를 적어서 그 뜻을 통용하여 썼었다라고 배웠던 기억이 있습니다.


지금도 중국에서 TV 나 영화를 보면 중국 영화나 방송인데도 불구하고 밑에 반드시 자막을 넣어서 방송을 하고 있습니다. 워낙 넓은 지역인데다가 중국어의 발음이 다르기 때문에 이를 보조하기 위해서 자막을 넣는게 현실인 것 같습니다(물론 소수민족에게 중국어를 보급한다는 취지도 있지만, 이건 별로 큰 동기는 아닌 것 같습니다)


아무튼, 중국에는 같은 한어, 즉 중국어라고 해도 지역에 따라 천차만별입니다.


중국의 대표적인 사투리(방언) 에 대해 잠시 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대표적인 지역 언어로는 우리가 흔히 홍콩말로 알고 있는 광동화(廣東話)입니다.


광동화는 9개의 성조로 구성되어 있고, 우리가 알고 있는 표준중국어와 문법도 완전히 다르고, 심지어 쓰는 단어도 다릅니다.


그리고, 두번째로는 민난화(閩南話) 라는 북건성과 대만에서 쓰는 사투리입니다.


이 쪽 언어도 매우 특이한데 중국의 공산화 이후 대륙에서 넘어간 많은 국민당 사람들과 중국인들로 대만에서도 우리가 흔히 듣고 알고 있는 중국어를 국어로 쓰고 있지만, 민난화도 허용하고, 방송에서도 자주 쓰고 있습니다.


심지어 민난화 전용 프로그램도 있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만큼 지역에 대한 지방색이 강한거죠.


그리고, 제가 살았던 지역인 상해에도 상해화(上海話) 라고 해서 지역의 언어가 있습니다. 


상해 방송에는 가끔 상해사투리를 자유자재로 사용하는 외국인들이 나와서 토론을 하기도 하는데, 중국어만 배우기도 어려운 저에게 현지 사투리까지 자유자재로 구사하는 외국인들을 보고 자극을 받았던 기억이 납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동북화(東北話)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오늘의 핵심 주제이니까요.


동북화의 경우는 우리가 알고 있는 보통화와 비슷합니다. 바이두 사전을 찾아보았더니 대략 이런 뜻으로 나오네요.


东北官话很接近普通话,比如哈尔滨方言(北京话与普通话之间则有相当明显的区别:过多的儿化音、北京话特有的方言词等等)。
外地人印象中的东北话其实往往是辽宁一些地区的“东北话”,比吉林和黑龙江的口音腔调重得多。锦州话特点最明显的是一句话尾音上扬。虽然东北各地的口音腔调有些许不同,但这种不同只是“东北味”的深浅有无,并没有词汇用语的不同,也没有较大的变音变声。


대략 번역을 하면, 


동북화는 보통화(한어) 와 비슷하고, 하얼빈 사투리의 경우 등이다. (북경어와 보통화 사이에도 명확한 구별이 있습니다. 얼화가 있고, 북경 특유의 단어 등이 있다)


 외지인의 생각에 동북화는 사실 요녕 일대에서 쓰는 동북화로 볼 수 있고, 길림과 흑룡강성에서의 억양이 강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진저우화의 경우 특히 문장의 끝을 올려서 발음한다. 비록, 동북 각 지역의 억양이 제각각이지만, 이러한 각각의 다름이 동북풍(東北味) 의 느낌을 주는 것이고, 단어 사용에서의 차이나 발음의 변화는 크게 없다.


라고 나와있습니다. 즉, 억양의 차이일 뿐이지, 위에서 언급했던 광동화나 상해말처럼 단어가 다르거나 문법이 다른 정도의 심각한 수준은 아니라는 겁니다.


그런데 역설적으로 여기에서 우리가 생각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 같습니다. 동북사람들의 경우는 자신들의 중국어가 당연히 표준어라고 생각하고 있기 때문에(실제로도 큰 차이가 없기 때문에) 대부분의 언어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조선족 교포의 경우는 어릴 때부터 부모나 그 윗세대를 통해 한국어를 배우면서 학교에서 중국어를 배우기 때문에 그러한 경향이 더욱 두드러지는 것 같습니다. 그들이 배우는 중국어는 대다수 학교에서 배운 것이기 때문에 표준어라고 생각을 하는 것이죠.


이해를 돕기 위해 우리나라와 비슷하게 생각을 해보면 우리나라 전라도나 경상도에서 국어시간을 생각해보면 대략 비슷한 느낌이지 않을까 합니다. 학교의 국어시간에는 당연히 책을 읽을 때도 표준어로 읽고, 표준 단어를 사용하겠지만, 읽을때의 그 지역의 억양은 쉽게 사라지지 않고, 수업이 끝나면 바로 사투리를 사용하는 것과 마찬가지이지요.


그런데 이런 번역들이 동북지역에 국한되지 않고, 중국 전역, 나아가서는 중화권 전체로 뻗어나가기 때문에 문제가 있는 겁니다.


제가 느끼기에 중국도 언어의 역사성이라는 것이 존재합니다. 어릴 때 배운 역사성이라는 것은 '시대의 변화에 따라 그들이 사용하는 언어나 표현이 다르다' 라는 것인데요, 


이렇기 때문에 현재 중국에서 젊은 층이 사용하는 언어의 대부분은 베이징과 상하이 등 대도시를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대학교들도 많이 있고, 아무래도 대도시에는 젊은 층이 많기 때문이겠죠.


그래서, 이런 드라마들이 방송될 때 더더욱 젊은 층에서는 재미있게 이 상황을 지켜보는 것 같습니다.


최근 한국 드라마와 문화 컨텐츠의 진출이 더욱더 활발해 지고있고 그 영역이 방송 전 영역으로 가고 있는 상황에서 이런 현상은 재미있으면서도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조금 더 주의깊게 살펴보아야 할 이슈라고 생각을 합니다.


3. 그렇다면 해결 방안은 무엇일까?


저는 크게 2가지의 해결 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먼저는 우리나라에서 공부하고 있는 약 7만명의 중국인 유학생 들입니다. 이 친구들 중에 물론 조선족 교포가 상당수 이기는 하지만, 대도시의 한족 친구들도 많이 유학을 와서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이 친구들이 현지로 돌아가면 대부분은 한국과 관련된 일을 하게 되는데 이 때 방송이나 미디어 관련 분야에서 종사하게 하는 건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지역차별이나 어떤 차별이 존재하며 안 되긴 하겠지만, 양질의 컨텐츠 제공이라는 입장에서 봤을 때 미디어의 경우는 가급적 중소 이하의 지역에서 보다는 대도시 출신을 선호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또 하나는 우리나라에서 또한 중국에서 저처럼 중국어를 배운 수많은 한국인을 활용하는 것입니다. 중국 진입 초기에는 조선족 교포나 중국인의 임금이 월등히 저렴했기 때문에 가성비를 고려해 어쩔 수 없이 교포나 중국인과 일을 했지만, 요즘 보면 별로 차이가 없거나 어느 영역에서는 중국인의 임금이 우리를 추월한 경우도 종종 발견되고 있습니다.


아직 문화부분에서는 두드러지지는 않지만, 어느 정도 훈련하고, 특히 우리 드라마의 현실과 뉘앙스를 제대로 전달할 수 있도록 꾸준히 연습을 한다면 적확하고 정확한 단어로 제대로된 표현을 잘 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저 역시 베이징에서 7년을 있었고, 상해에 3년을 있었는데 지금 쓰고 있는 중국어를 보면 남방 지역의 발음을 사용하면서 쓰는 단어는 가끔 북경의 단어들을 쓴다고 중국 친구들이 저에게 얘기할 때가 있습니다. 그래서 처음 보는 중국인은 한참 얘기를 하다가 왕왕 저에게 '그런데 어느 지역 출신 사람입니까?(어느 지역 중국인인가요?) ' 라고 물어올 때가 있습니다. 그만큼 중국인들 끼리도 서로의 발음 차이가 심하기 때문에 왠만한 사투리의 경우(동북 등 특이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감안 해서 대화를 하는게 보통입니다.


그리고 우리나라와 중국에서 외국어로 중국어를 배우고 있는 많은 중국어 수강생들이 과연 표준 중국어도 제대로 배우기에 오랜 시간이 걸리는데 그 많은 사투리들의 차이를 제대로 이해하고 적확한 단어를 사용할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이 있기는 하지만, 지금과 같이 중국어가 인기 있는 외국어가 되고, 많은 사람들이 연구하고 발전시킨 다면 우리나라에서도 표준어와 사투리의 차이를 명확하게 구분해 내는 인재들이 배출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중국 친구가 올린 사진 몇 장으로 이렇게 긴 이야기가 나오게 되었네요.


앞으로도 우리나라의 컨텐츠가 해외에 더 널리 많이 알려지고, 정확한 표현과 방법으로 더 발전하기를 기대해 봅니다.


- <MR. DOH>




반응형
728x90
반응형

맥킨지 연구소 보고서 요약


제목 : 2016년 중국에는 어떤 일이 있을까? (What might happen in china in 2016?)


저자/일시 : 고든 오(Gordon Orr) , Jan. 2016


많은 인구가 도시로 이동하고, 직업은 더 줄어들며, 큰 집약체가 생겨날 것이고, 블록버스터 영화들이 만들어질 것





Tipping Points :


1) 13차 5개년 계획 - 변화는 크지 않지만 GDP 성장율 목표, 환경규제, 생산력 향상을 위한 시도 등 기대 


2) 직업은 줄어들고, 수입도 줄어들 것 - 특히 화이트칼라 직장인 층이 취약함


3) 중국의 투자 성숙 : 중국투자자와 외국 투자담당에게는 더 많은 옵션 - 하지만 현지 투자자들의 변덕스러운 성향을 기억할 것


4) 중국의 제조는 사라지지 않고 변화할 것 - 승자들은 글로벌 시장에서 더 경쟁력을 갖출 것


5) 농산물 수입이 훨씬 더 늘어날 것 - 호주, 러시아, 미국에는 새로운 기회가 될 것


6) 중앙집권화 강화 - 중앙의 권한 위임 노력이 실패할 것


7) 인구 이동의 증가, 농민이 아닌 중산층의 이동 심화 - 중국의 도시들은 (인구로 인해)폭발 직전임


8) 중국은 영국과 함께 글로벌화에 집중 - 양국간의 밀당(love affair)이 있지만, 다른 나라들은 그 밀당에 참여하기 원할 것


9) 마지막으로... - 중국의 축구가 월드컵의 승자가 될 것 : 아직은 어려울 수 있지만, 이미 많은 자금이 중국 축구리그로 흘러들어감.



Comments : 


1) 중국인들의 도시화로 인한 문제 증가 및 그 해결책을 갖고 있는 기업들에게 기회가 있을 것.


2) 영화 산업 등 컨텐츠 산업에 대한 수요가 많이 늘어나고 있으며 빠른 속도로 현지화되어 가고 있음, 다만 현지의 규제 등으로 기회는 계속 있을 것.


3) 환경, 식품 안전 문제 등으로 인한 수요들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 해외의 안전식품, 중간재 등의 수입이 증가할 것.


4) 중국인들의 성장 둔화와 가계의 직접적인 수입 감소 등으로 인하여 중국인들의 소비 패턴과 생활 트렌드에 큰 영향이 될 것.


5) 우리의 대중국 기회는 지속될 것.





원문링크 :

http://www.mckinsey.com/Insights/Strategy/What_might_happen_in_China_in_2016?cid=other-eml-alt-mip-mck-oth-1601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아름다운 목장 美麗的草原 - 우루무치


우루무치는 이런 뜻이라고 했다.


아마 비지니스가 아니더라도 언젠가는 한 번 가봐야지 하는 곳이었다.


중국에 10년 가까이 있으면서도 멀다는 핑계로 한 번도 밟아보지 못했던 곳이었다.


<왼쪽 중간부터 넓은 사막지대를 기반으로 매우 광활한 지역을 형성하고 있다>


신장은 중국 전체 면적의 1/6을 차지하고 있어서 매우 광활한 지역이다. 중국 전체가 대한민국의 약 100배 정도가 되니까 신장만 하더라도 무려 우리나라의 16배 이상이 되는 지역인 것이다. 


우루무치에 처음 비행기를 타고 내릴때는 마치 미국 서부지역에 와 있는 듯한 착각을 불러일으켰다. 그도 그럴 것이 드넓은 사막지대에 형성한 도시인 것도 그렇고, 한 국가의 서부를 대표하는 지역이기도 해서 그런 것 같다. (LA도 미국의 westside 를 대표하는 지역이다)


신장은 위구르족 자치구로 지정되어 있지만 실상을 들여다 보면 막상 그렇지는 않은 것 같다. 신장 전체 인구를 보면 약 2131만명 중에 한족이 약 41%이고 위구르족이 43%로 위구르족이 약간 앞서는 듯 보이지만, 현지에서 가장 큰 도시인 우루무치만 하더라도 약 80% 이상이 한족으로 되어있고, 그나마 있는 위구르족도 대부분 특정 지역에 모여 사는 편이라서 여느 대도시와 다를 것 없는 분위기로 형성되어 있었다.(위키피디아 참조) 


특히 대부분의 정치, 경제 부분에서는 한족이 절대 우위를 차지하고 있었다.


신장은 크게 신북(新北)과 신남(新南) 으로 나눈다고 했다. 현지에서 만난 사업 파트너의 친척이 나를 공항에서 마중했는데 호텔까지 가면서 꽤 많은 정보들을 알려주었다. 신북에는 위구르족이 많지 않고, 신남에 위구르족이 많아 현지에 사는 한족들도 신남에는 위험해서 잘 가지 않는다고 했다. 위구르족이 정말 위험하거나 그런것은 아니다. 


우루무치에 며칠 지내는 동안 위구르족들도 다 사람이구나 하는 생각을 했었다. 다만 생김새가 한족과는 매우 다르고(동구유럽과 중동사람들이 섞인듯한 모습이다. 카자흐스탄 사람들과도 비슷한 생김새다), 언어역시 위구르언어를 함께 쓰기 때문에 이질감이 느껴지기는 한다.




<위구르현지 식당 모습, 대부분 양고기 꼬치 등 육류를 주식으로 하고, 

위구르언어를 함께 쓴다>

우루무치는 현재 중국의 일대일로(육로 1개, 수로 1개를 뜻하는 말로, 과거 실크로드의 회복과 해상로를 회복하여 과거의 부흥시대를 재현하겠다는 의미) 정책에 맞물려 시안에서 출발하는 실크로드를 통과하는 거점 도시로 급부상하고 있다. 


공항역시 이미 터미널 3개가 운영되고 있으며, 특히 우루무치 지역에서 환승하여 동구유럽과 러시아 지역으로 향하는 승객들이 많이 다니고 있었다.


이 지역은 현재 유럽과 아시아를 통합한 하나의 대륙으로 보려고 하는 시도들이 진행되고 있다. 이 거대한 지역이 하나로 합쳐진다면 우루무치지역과 이 일대는 정말 역사상 보기 드문 대 변화가 진행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우루무치 현지 택시에 붙어있는 광고, 제 4회 차이나 유라시아 박람회에 오신 것을 환영함>


혹시 우루무치 지역을 방문하신다면 이 식당은 꼭 추천드린다.




<삼교숯불꼬치 본점이다. 三桥烤肉王烤肉王总店>


우루무치에 있는 현지 파트너가 추천해서 데리고간 식당인데 현지인들 뿐만 아니라 타지에서 여행온 많은 중국 관광객들은 꼭 한 번씩 들려보는 식당이라고 한다. 양꼬치나 면요리가 특히 맛있는 곳이다.


중국인들 사이에서는 '평생을 다 다녀도 못 다녀볼 나라가 중국' 이라는 말이 있다. 나도 중국에 10년 가까이 있었지만 가본 지역보다 못가본 지역이 훨씬 더 많을 정도로 다양한 모습을 갖고 있는 지역이 중국이다. 


업무상 가지 않았다면 사실 큰 관심을 갖지 않았겠지만, 앞으로는 비지니스 차원 뿐 아니라 발전하는 유럽과 아시아의 관계 속에서 성장해나갈 도시의 모습을 지켜보는 것으로도 큰 즐거움이라고 생각하고 자주 방문할 기회를 만들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이 글을 보시는 독자 분들도 꼭 한 번 기회를 만들어서 가보시면 좋을 것 같다.


항공편 : 

대한항공 직항 주 1회 (있다고 하는데 예약이 잘 안되니 전화로 확인하자)

중국 항공기 : 북경, 상해 등 중국 도시를 1회 경유하여 갈 수 있음.


 


  



반응형
728x90
반응형

상하이를 떠난지도 6개월이 지나고, 요즘 조류독감으로 인해 뉴스에도 많이 나오고, 생각이 나기도 해서.

 

관련 영화를 좀 소개해 보기로 한다.

 

 

예전에 살던 곳에서 찍은 상하이 전경

 

오늘 소개하고 싶은 영화는 상하이를 배경으로 한 3편이다.

 

1. 상하이콜링

2. 상하이

3. 상하이스토리

 

 

첫 영화는 한국을 통해 유명해진 다니엘 헤니가 주연을 한 상하이 콜링이다.

 

중국어로는 纽约客@上海 (New Yorker at Shanghai)

 

Shanghai Calling

 

대략적인 줄거리는 이렇다. 다니엘 헤니는 뉴욕에서 촉망받는 변호사이다. 하지만, 그는 고객의 요청으로 상하이에 출장을 가게 되면서 겪는 이야기이다.

 

내용은 대부분의 영화들이 그렇듯이 식상하기 그지 없다. 하지만, 일단, 영화에 출연하는 다니엘 헤니, 빌 팍스톤 등 우리가 자주 접하던 배우들이 나와서 꽤 즐거운 영화가 되었다.

 

 

 

다니엘 헤니의 상대역으로 나오는 여주인공. 엘리자 쿠페.

 

 

사기꾼으로 나오는데, 중국에가면 한국인 뿐 아니라 백인 사기꾼도 꽤 있나보다. 영화 설정을 보아하니.

 

영화 속에서 꽤 큰 비중을 차지하는, 극 중 상하이내 미국인회 회장을 하며 PUB 을 운영.

 

 

상하이에서 뭐하는지 잘 모르겠으나, 꽤 토박이인척 하는 다니엘 헤니의 친구. 중간에 빠오즈 나눠 먹는 장면이 인상적.

 

두 번째 영화는 할리우드의 존쿠삭과 중국의 자존심 공리가 주연한 영화 '상하이' 이다. 중국어 谍海风云(첩해풍운)

 

Shanghai, 2010

 

 

이 영화는 2011년 우리나라에도 개봉한 꽤 큰 글로벌 프로젝트이다. 무엇보다 할리우드의 유명배우 존쿠삭과 중국의 자존심 공리, 홍콩 영화계의 천왕 주윤발, 할리우드의 일본계 배우 와타나베까지. 난 상하이에 살면서 이 영화를 보게 되었는데, 이 도시가 어떻게 지금의 화려한 모습을 형성하게 되었는지 과거를 보여주는 멋진 영화이다. 개인적으로 이 영화를 아주 좋아한다. 내용이 재미있다기 보다는, 1930년대의 상하이를 매우 멋지게 보여주기 때문이다. 실제로 이 영화를 찍기위해 상하이에 허가 신청을 의뢰했지만 거절당해 태국에 대형 세트를 마련해서 촬영했다고 한다.

 

 

 

 

 

마지막으로 소개할 영화는 중국 영화계의 히로인, 왕조현이 나오는 Shanghai Story, 중국어로는 美麗上海.

 

 

Shanghai Story

 

 

 

 

사실 이 영화는 지난 4월 1일 故 장국영 추모를 위해 방송했던 천녀유혼을 보고 왕조현의 영화를 찾아봐야겠다는 생각에 검색하다 발견한 영화이다. 상하이를 배경으로 현대 중국 가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들을 통해 현대 사회의 중국을 조명해보는 그런 의미있는(?) 영화이다. 이 영화에 나오는 왕조현을 보면서 내내 슬펐던 것은 세월은 역시 어쩔 수 없나보다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하이 배경인데도 불구하고 상해어가 나오지 않는다는 점은 개인적으로 매우 아쉬운 점이다.

 

 

 

 

아참, 그리고 왕조현은 원래 대만태생이다. 예전에는 홍콩영화에서만 봐서 홍콩사람인 줄 알았는데, 아무튼, 광동어도 잘 하는지는 모르겠으나, 이 영화에서 대만식 중국어 발음이 다른 배우들과는 약간 독특하게 대비된다.

 

상하이를 주제로한 영화가 많아 상하이가 생각날 때마다 하나씩 봐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반응형
728x90
반응형

※ 본 게시물은 해당 사이트와 전혀 직접적 관련이 없고, 개인적인 의견만을 기고한 것입니다.

 

그 동안 나만 좋은 소스로 보는 것 같아, 약간 대국민적인 미안함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오늘 괜찮은 걸로 하나 풀어드리고자 이렇게 적어봅니다.

 

 

 

그럼 서론 먼저 풀어볼께요(전 항상 서론이 중요해요 ). 

 

처음 중국에 갔을 때, 여러가지 다양한 경험을 통해 내가 '우물안 개구리' 라는 생각을 하게 됐었다. 그 중에 하나가 바로 'openness to other cultures' 였다.

 

나름 어릴 때부터 매주 일요일 아침 디즈니 만화를 필두로 하여 마이티 마우스, 육백만불의 사나이, 천재소년 두기 등 미국 문화를 섭렵함은 물론, 후레시맨, 울트라맨에 러브레터까지 일본 드라마/일본 영화까지도 충분히 봤다고 생각했던 나였다.

 

But, 중국에 와보니 난 겨우 그들의 극히 일부분만(엄밀히 말하면 한국의 공중파나 케이블에 풀어줬던 컨텐츠) 접하고 그걸로 그 나라의 문화를 다 알고 있었다고 생각했다는 것을 깨달았다. '죽의 장막' 이라고 배웠는데(물론 92년도 개혁개방 이후 10여년이 흐른 뒤였지만) 이건 겉으로만 장막이 쳐져있고, 내부적으로는 해적판이 중국 전역에 걸쳐 돌아다니고 있었다.

 

우선 당시에만 해도 불법복제CD 들을 길거리마다 판매하고 있었다. 그 CD에는 한국에서는 접하기 어려운 시리즈물은 물론, 음악 CD까지도 넘쳐있었다. 게다가 가격 역시 당시 가격으로 한 장당 겨우 8~10위안(당시 한화로 1000~1300원 정도) 밖에 하지 않았다. 당시 중고등학교 때 누구나 pop뮤직 혹은 mv 를 소장하는게 유행처럼 번졌었는데, 이 나라는 (물론 정품은 아니었지만, 정품이라고 파는 것도 가서 보면 진짜인지 아닌지 의심스러워 구매하기가 어려웠다.) 그런 시디는 물론 한정판까지도 말도 안되는 가격에 여기저기서 판매를 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래서 난 그 때서야 비로소 내가 그리도 좋아했던 '남자 셋 여자 셋' 이 미국의 프렌즈를 모티브로 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내가 봐왔던 수많은 티비 드라마와 쇼들이 외국의 수많은 컨텐츠들을 벤치마킹(너무 좋게 말하는건가) 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 뒤로 CD 가 DVD 로 지나가고, 바야흐로 중국의 컨텐츠는 중흥의 시기를 맞기 시작한다.

 

그러는 동안 중국의 경제사에도 매우 다이나믹한 event 가 생기는데 그게 바로 2003년의 WTO 가입이었다. 그 동안 세계의 공장의 역할을 충실히 해왔던 중국이 이제는 국제사회에서 발언권을 얻고자 입지를 마련하기 시작한 것이다.

 

 

 

이후, 지적재산권이 중국에서 큰 이슈로 대두되면서 점점 불법 복제물들이 압력을 받는게 아닌가 싶었다. 하지만, 복병은 정말 생각지도 못했던 곳에 숨어있었다. CD와 DVD가 정부의 탄압을 받고 있을 때, 미국에서는 youtube 라는 UCC 서비스가 전세계를 강타했고 그 무렵 우리나라에서도 왠만한 포털 사이트는 저마다 앞다투어 UCC 및 관련 동영상 사이트를 내놓기에 이르렀다.

 

이런 중흥의 시기를 타고 등장한 것이 바로 중국의 다양한 UCC 동영상 사이트들이다. 대표적으로 56(www.56.com), youku(www.youku.com), tudou(www.tudou.com) 등 전문 사이트는 물론 중국의 포털사이트인 QQ, Sohu, Sina 등에서도 동영상 서비스를 시작했다.

 

그런데 재밌는 것은 미국(youtube)와 아시아(한국, 중국)의 다른 UCC 문화에 있었다. 미국은 70년대 이후 비디오카메라가 보급되면서 홈비디오를 찍는 인구도 많았고, 그것들을 방송해주는 시장이 전통적으로 형성되어 있었다. 그래서 UCC도 자연스레 보급이 되었었다. 뭔가 자신들만의 이야기를 사람들에게 알리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하지만, 동양-특히 한국과 중국은 그 양상이 좀 달랐는데 우리는 공중파나 케이블에서 재미있었던 영상들을 편집하여 올리거나 패러디 하는 UCC 들이 많았다. 그래서 일부 포털사이트들은 해당 방송사와 계약을 맺고 동영상을 배포해주는 서비스까지 진행하게 된다.

 

10년이 넘는 얘기를 시작으로 했는데, 중간에 좀 훅~ 지나온 느낌이 있다. 중간 내용을 구구절절 설명하자니 한도 끝도 없고, 읽다가 지치실 것 같아 본문으로 넘어가도록 하겠다.

 

본론-

 

우리나라는 대부분의 드라마들을 해당 방송사의 '다시보기' 서비스를 통해 보게 한다. 초반에 이 서비스를 시작할 때 거의 모든 방송사가 무료로 서비스를 시작했으나, 컨텐츠가 곧 머니라는 사실을 알고난 후 편당 500원 정도로 서비스를 시작했었다. 요즘은, 대부분의 컨텐츠 제공 회사들이 월정액을 들고 나왔는데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무료로 볼 수 있는 컨텐츠들이 사실상 전무하다는 것이다.

 

미국의 경우, 미드는 대부분의 방송사사이트들이 다시보기를 제공하고, 상당수의 방송사가 무료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난 대부분의 방송사가 이럴 멘트를 날려줄 때 마다 짜증이 나곤 했다.

 

 Sorry, currently our video library can only be watched from within the United States

 

 도대체 왜!!, 외국에 있는 미국인은 어쩌라고, 중국에 있는 한국인들은 또 어쩌라고.

그래서 나름 머리를 쓴다고 한 것이 프록시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우회로 미국에 있는 것 처럼 하는 방법이었다. 물론, 이 방법으로도 미국의 현지 방송을 볼 수 있다. 하지만, 단점이 프록시라는게 매우 불안정하고 수시로 주소가 바뀌기 때문에 방송을 보는데는 영 불편한 점이 한두가지가 아니다.

 

중국의 경우는 어떠한가. 대부분이 개인이 화면을 떠서 그대로 올린 영상들이었다. 내가 대학 다닐때 같은 과 중국인 친구들도 한국에서 방송이 나온 다음날이면 나한테 어제 했던 드라마를 봤냐고 물어봤다. 난 당연히 보지 못했고, 어떻게 구했냐고 물어보면, 한국에서 방송한 그 날 밤에 바로 자막을 달아서 인터넷에 올라온다고 했다. 밤에 다운 받아놓은 뒤 아침에 보고 수업에 나온 것이었다. 정말 어메이징 하지 않은가. 그나마 요즘의 빠른 인터넷 덕분에 이런 수고마저도 덜게 되었다.

 

자 드디어 내가 말하고 싶었던 사이트들을 공개하도록 하겠다.

 

1. PPTV (PC, Mobile-Iphone, Ipad, Android 서비스 제공) http://www.pptv.com

 

 

 

내가 중국으로 파견가서 정말 이 회사 때문에 덜 외롭게 상해 생활을 할 수 있었다. 사이트에 접속해서 바로 해당 영상을 볼 수 있고, pptv 라는 컴퓨터용 프로그램(곰플레이어와 비슷함) 을 다운받아서 전용 프로그램을 통해 동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 대부분의 미드, 중드, 한드가 업로드 되어 있고, 특히 많은 동영상의 카피라잇이 보장되어 있어 좀더 안정적인 서비스와 고화질로 감상할 수 있다는 점이 큰 메리트이다. 회원가입을 해서 동영상을 보는 횟수만큼 포인트가 올라가는데 포인트가 높아질수록 볼 수 있는 동영상수가 늘어난다. 또한, VIP 회원제를 운영하여 유료로 일정금액을 지불하면 최신 영화또한 블루레이화질로 감상할 수 있다. 아이패드나 아이폰, 태블릿, 스마트폰을 갖고 계신 분이라면 어플리케이션을 다운 받아서 보시라고 추천해드리고 싶다. 이동중에 시청하고 싶으면 와이파이환경에서 미리 다운로드 받아두어 보시는 것이 데이터를 절약하는데 도움이 되실 것이다.

 

2. PPS (PC, Mobile-Iphone, Ipad, Android 서비스 제공)  - http://www.pps.tv/

 

 

 

위의 pptv 와 명칭이 비슷해 같은 회사가 아니냐는 질문을 하시는 분들도 있는데 확인해 본바로는 일단 두 회사는 경쟁관계의 회사라고 사료된다.(검색을 해보니 두 회사가 소송을 한 일도 있었다고 한다.)

 

pps 는 특히 한국드라마 매니아들에게 많이 알려진 사이트이다. 이 역시 모바일을 통해 이용하는 사람들이 많다.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서 보거나, 컴퓨터에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서 보시길 바란다.

 

3. 影視迷 yingshimi (PC 만 시청 가능) - http://ysmi.cc/

 

 

 

 

최근 본인이 매우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는 사이트이다. 위의 PPTV와 PPS 는 최근 중국의 반일감정 및 미국의 저작권 문제로 인해 일드는 거의 볼 수가 없고, 미드 역시 많은 부분 업데이트가 늦거나 심지어 있던 동영상마저 삭제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하고 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대륙의 시청자들을 만족시키기에는 역시 이런 근사한 사이트가 제격인 것이다. 본인 생각에는 저작권 문제 때문인지 아예 모바일은 서비스조차 하지 않는다. 이 사이트에 접속하면 수많은 최신 미드/중드/일드/한드 를 여과없이 감상할 수 있다. 접속하면 곰플레이어 비슷한 폭풍플레이어라는 걸 다운 받으라고 하는데 그 프로그램만 다운받으시면 고화질의 영상을 아주 즐겁게 감상하실 수 있겠다.

 

Tips

1. 모든 사이트가 중국어를 기반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혹시 중국어로 어려움이 있으신 분이 계시면 댓글로 보고 싶은 영상물의 제목을 적어주시면 제가 링크를 찾아드리도록 하겠습니다.(위의 사이트에 없는 영상물도 있으니 너무 실망하지는 마세요 :D   )

 

2. 모든 영상은 기본적으로 중국어 자막으로 되어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미드나 일드 모두 원어로 들어야 하고, 일부 미드의 경우 영어 자막과 중국어 자막이 동시에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3. 프로그램 인스톨 혹은 회원 가입에 어려움이 있으신 분은 말씀하시면 도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즐거운 주말 되세요- !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