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해외 경영대학의 무료 경영정보 vs 해외 경영 관련 매거진, 신문

이번에는 해외편으로 소개를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각 대학의 경제 전문지 또는 사이트

1) HBR (Harvard Business Review, http://hbr.harvardbusiness.org/)





경영학과 학생이 아니더라도 이제는 실생활에서 그들의 리뷰 아티클들은 한 번 쯤 접해볼 수 있을만큼 대중화되고 친숙해져 있다.
HBS(Harvard Business School)의 역사만큼이나 오랜 역사와 전통을 갖고 있는 HBR은 일부 이슈들을 제외하고는 아쉽게도 유료로 모든 아티클들을 제공하고 있다. 그래서 많은 학생들이나 독자들은 적지 않은 돈을 지불하며 가치있는 정보를 습득하기 위해 많은 노력들을 하고 있다. 다행히도 국내에는 일부 까페나 모임들을 통해 일부 유명 아티클들을 접해볼 수 있고 토론하는 문화도 생겨서 정보 습득에는 크게 어려움이 없다고 생각한다. 또한 이런 정보들이라면 돈을 지불하는 것도 부가가치를 따졌을 때는 오히려 큰 이익이라는 생각도 드니 장기적으로는 무료나 다름없다는 생각이다.

2)  Knowledge @ Wharton (http://knowledge.wharton.upenn.edu/)



2000년대 들어서 미국 최고의 경영대학원과 경영대학이라고 자부하는 와튼스쿨이 HBR에 필적할만한 무료 경영정보 사이트를 내놓았다. 놀리지 앳 와튼이라는 사이트인데 내 기억엔 2003년쯤인가 됐었던 것 같다. 아무튼, 이 사이트의 등장으로 대규모의 자료들을 무료로 흡수할 수 있게 되었고 무료임에도 불구하고 굉장히 비중있는 아티클들이 많이 있는 어느 경지에 이르게 되었다. 그것도 아주 짧은 시간에. 와튼은 이 사이트로 더 큰 경쟁력을 갖게 되었고 세계적으로도 많이 알려지고 많은 참여를 이끌어 내었다. 또한, 현재는 영어 뿐만이 아니라 중국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등을 서비스하면서 글로벌 경영사이트로 발돋움 하려고 하는 모습이 역력하다. 개이적으로 매우 가치있고 관심있게 보는 사이트로 앞으로의 발전도 큰 기대가 된다. 또한 대학들이 경영정보를 공개하는데 관심을 갖게하는 선도자의 역할로도 자리하고 있다.

3) Stanford Business Magazine(http://www.gsb.stanford.edu/news/bmag/)



사실 나는 위에 두개밖에 몰랐는데(학교에서 HBR만 공부했고, 와튼은 개인적으로 이메일을 받아보고 있었기 때문에 다른 것은 잘 몰랐다) 이 글을 쓰기위해 뒤적뒤적여보니 꽤 많은 대학들이 경영 관련 잡지들을 펴내고 있었다 (그도 어쩌면 당연하다는 것이다. Publish or Perish라는 Stanford GSB가 아닌가?) 구석구석 살펴보니 사실 HBR이나 놀리지 앳 와튼 같은 정보 공유의 목적보다는 MBA스쿨 홍보에 치중한다는 느낌도 들기는 하지만, 그 역시 대학 홍보차원에서의 잡지라면 숙명인 듯 받아들여야 할 터이니 크게 개의치는 않는다. 쿼터별로 한번씩 발행하는 계간지인데 가끔가다가 괜찮은 아티클들은 꽤 비중있게 다뤄지고 있다. 가끔 읽어보면 괜찮을 만하다.

4) Kellogg Insight (http://insight.kellogg.northwestern.edu/)



켈로그는 마케팅 분야에서는 세계 최고의 권위를 갖고 있는 스쿨이다. (와튼과 나름 대등하려고 노력한다) 워낙 탑 스쿨이라서 큰 차이는 없었다. 이 학교는 독특하게 연구 잡지라는 중점을 두고 있었다. (역시 마케팅을 써먹으려는 시도가 다분하다. 세그먼트를 나누다니) 아무튼, 그래서인지 다분히 학술적인 내용들이 주를 이룬다. 하지만 켈로그의 특성상 트렌드를 반영하지 않고 학문적인 것들만 추구한다는 것은 어려움이 있어서인지 최근의 금융위기를 반영한 금융 관련 아티클과 마케팅과 관련한 아티클들이 꽤 많이 눈에 띄었다. 여기도 가끔 읽어보면 재미있다.

5) Chicago Booth Magazine (http://www.chicagobooth.edu/magazine/31/2/index.aspx)



노벨상 다량 배출 학교로 인기있는 시카고 대학의 경영대학원 역시 매우 유명하다. 특히 경제분야가 매우 강해 시카고 학파로도 유명한 시카고 대학답게 경영대학도 항상 탑에 랭크되어 있다. 원래 시카고 GSB였는데 언제 Booth 라는(좀 촌스럽다) 이름을 갖다 붙였는지 모르겠다. 아무튼, 여느 일반 대학과 마찬가지로 부스 매거진에 특별한 건 없다. 스탠포드랑 비슷하게 학교 내부 정보지 정도의 수준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하지만, 시카고의 유명 교수님들의 글들을 접해볼 수 있는 좋은 기회라는 생각이 들어 소개해드렸다. (위에 잡지 소개에도 그런 내용을 써 놓았지 않는가.ㅎㅎ)

6) Tuck Today (http://www.tuck.dartmouth.edu/today/)



대학교 1학년 때부터 NYU Stern 이나 턱 MBA에 가고 싶었다. 그냥 막연한 동경의 대상이었다. 다른데도 많은데 왜 이리 끌렸는지 지금도 잘 모르겠다. 하지만, 다트머스라는 매력이 있는데다가 턱은 많은 비지니스스쿨 중에서도 꽤 유명하다. (MBA가 최초였나 그렇다)
아무튼 무지 intrigue한 학교이다. 각설하고, 이 학교의 경영관련 매거진은 딱히 없고 투데이라는 약간은 뉴스같은 형식이다. 일반 경영대와 별반 다를것 없는 것 처럼 보이나 IDEA 칼럼에 들어가면 이 대학 교수님들의 꽤 재미있고 간결한 아티클들이 보인다. 가끔씩 보면 재미있을 그런 글들이다. 암튼 턱이 맘에든다. 이름도 턱- 하니.ㅋ

7) Stern Business (http://w4.stern.nyu.edu/sternbusiness/spring_2009/SternMagSpring09.pdf)



뉴욕대 스턴, 턱과 함께 가고 싶은 MBA 두 곳중 하나다. 뉴욕에 있다는 너무너무 큰 메리트와 함께 NYU MBA 출신들이 HBS 출신들을 고용해 쓴다는 우스갯 소리 또한 나를 즐겁게 한다. 이곳의 매거진은 위에 보시다시피 알룸니 매거진에다가 1년에 딱 2번 출간된다. 동창회 정보지라고 생각해도 무난할 듯 하지만, 스턴 출신이 아니라면 딱히 읽어보지 않을 수도 있겠다. 뉴욕에 있는 학교라서 금융이나 산업 전반에 대해 인사이트를 갖고 있는 잡지이다. 1년에 두번 출간되서 인지 내용도 꽤나 충실한 편이다. 심심풀이로 읽어보기에는 꽤 훌륭한 정보가 많다.

그 밖에 콜롬비아, 예일, 버클리 하스, UCLA 앤더슨 등 많은 비지니스 스쿨에서 각종 정보를 쏟아내고 있는데 대부분은 위와 비슷하고 특별히 그 학교 출신이 아니라면 잘 읽지 않을 것 같아  미국 대학은 여기까지만 소개하기로 한다. 이제는 유럽쪽으로 넘어가보겠다.

유럽도 학교가 너무 많으니 대표적인 LBS(London Business School), INSEAD, IMD 정도만 소개해 보도록 한다.

8) LBS Business Strategy Review (http://www.london.edu/publications/businessstrategyreview.html)

 

LBS는 영국의 대표적인 비지니스스쿨로 유럽에서 인시아드와 양대산맥을 이루고 있다.(최근 몇 년간 옥스포드랑 캠브리지가 안어울리게 비지니스 스쿨을 만들어서 순위를 급상승시키고는 있으나 LBS의 역사와 전통, 명성에는 아직 많이 부족한 편이다) 그 자신감으로
비지니스 스트레티지 리뷰라는 잡지가 있고 물론 유료다. 간단한 주요 기사만 몇개 정도 볼 수 있다. 유럽에서는 인지도가 어떤지 잘 모르겠지만, LBS의 명성만으로도 충분히 가치있는 잡지라고 생각이 된다.

9) INSEAD Knowledge (http://knowledge.insead.edu/home.cfm)



몇 년전에 전락적 파트너인 와튼과 손잡더니 날리지 앳 와튼과 비슷한 인시아드 놀리지를 만들어놨다. 와튼 만큼 정보도 풍부하고, 무엇보다 와튼보다 시원시원한 사이트 구성이 매우 마음에 든다. 인시아드는 학교도 매력적인 도시인 파리에 있는데다 외국 유학생 비율이 매우 높은 학교여서 국제 경영이나 전략, 마케팅쪽에 매우 인기가 있다. 아무튼, 와튼과 함께 강추하는 사이트다.

INSEAD Knowledge Receives 'Official Honouree' Distinction For the 12th Annual Webby Awards
International Business Awards
STEVIE AWARD WINNER:

INSEAD, Singapore and Fontainebleau, France "INSEAD Knowledge (English) home page"

(2008년에는 상도 2개 받았단다.ㅋ)


10) Tomorrow's Challenge of IMD (http://www.imd.ch/research/challenges/index.cfm?TEA2=true)



IMD는 매년 국가경쟁력 보고서등 굵직한 보고서를 내놓는 학교로 유명하다. MBA도 1년짜리 인텐시브 코스인데 유럽 최강을 자랑한다. 재미있는 것은 이런 학교에서 나오는 정보지는 매우 간결하고 쉽게 읽을 수 있게 만들었다는 것이다. 유럽 국가 답게 디자인에 꽤 신경을 많이 썼다. 재미있게 읽어볼 수 있는 글들이 꽤 있으니 들어가서 한번 둘러보면 좋은 볼거리가 있을 것이다.

비지니스 스쿨 관련은 이만큼만 소개하기로 한다.

해외에 무수히 많은 연구소와 경영관련 잡지들은 다음회에 소개하도록 하겠다. (너무 더워서요. --'ㅋ)

To be Continued...

반응형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신 경영+경제정보의 요람 - 국내편  (0) 2009.06.20
2030 ~ 2100년은 중국의 시대!  (0) 2009.03.17
728x90
반응형

경영, 경제연구소 vs 경제신문, 매거진

  굉장히 오랫만에 글을 쓰는 것 같다. 요즘 집에서 한가하게 이런 저런 생각을 하다가 정보 공유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깨닫고, 조금이나마 나누고자 글을 쓰려고 한다.

  경영학을 전공한 경영학도였기에, 나름 여러 case들과 정보들을 접하기 위해 이런저런 경로들을 거쳤었다. 그 중에 몇가지를 소개하고자 한다.

1. 경영, 경제연구소
  내 기억엔 1990년대 중반으로 기억된다. 물론 그 이전부터 존재는 하고 있었다. 하지만, 삼성경제연구소가 이름을 드러내기 시작한게 그 때 쯤인 것으로 기억한다(SERI 홈페이지 연혁을 보니 96년도에 홈페이지가 생겼다. 그 전후로 해서 알게 된 것으로 기억한다.) 그리고 IMF 등을 계기로 사람들이 전문적인 경제 정보에 관심을 많이 갖고 각종 동호회와 포럼들이 활발하게 생기면서 경제연구소들의 입지도 다양해지고 넓어졌다. 또한, 기업들의 대표브레인이라는 이미지가 굳어지면서 대기업들이 앞다투어 경제연구소에 많은 예산을 투여하고 질을 높이기 위한 작업들을 많이 한 것으로 보인다.

  몇개의 대표적인 연구소들을 언급하고자 한다. 먼저 국가의 브레인이라고 생각하는 KDI(한국개발연구원, http://www.kdi.re.kr, http://epic.kdi.re.kr) 가 있다. 이 곳은 70년대에 경제개발계획과 함께 그 추진의 타당성들을 검증하기 위해 세워진 곳으로 알려져있다. 국가적인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한 타당성 검토 및 각종 분석들을 주로 하는 곳인데 현재는 국가의 대표적인 브레인 기관으로 인정받는 곳이기도 하다. 또한, 90년대 후반에는 대학원도 생겨서 공부도 하러 가는 사람들도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하지만 국가기관이라 대중이 접하기에는 쉽지 않고, 아직은 많이 폐쇄적이라는 느낌이 들 때가 있다.
 다음으로는 대외경제정책연구원(http://www.kiep.go.kr) 인데, 우리나라가 수출로 먹고사는 나라인 만큼 이 기관의 역할도 매우 중요하다고 하겠다. 사이트를 들어가보니 최근 중국 경제의 부상을 실감할 수 있도록 중국 분야의 이슈를 따로모아 관리하는 것이 눈에 띈다. 80년대말 설립된 곳인데도 비교적 적은 인력으로 높은 인지도를 갖추고 있는 곳으로 사료된다. 
 그 밖에 수십개의 정부산하 연구소들이 있는데 대부분 개별적인 분야에 대한 연구를 주로 이룬다. 
 다음으로는 최근 인기가 높은 민간 연구소들이다. 위에 언급했던 SERI(http://www.seri.org)는 물론 LGERI(http://www.lgeri.com), POSRI(http://www.posri.re.kr), 현대경제연구원(http://www.hri.co.kr) 등은 대표적인 경제,경영 연구소들로 자리매김을 했다. 나도 개인적으로 LGERI, POSRI, SERI에서 이메일 정보를 받아보고 있는데 매우 유용하고 수준이 높은 논문들이나 자료들을 무료로 제공받을 수 있다는 큰 장점이 있다. 또한, 기업들의 연구소여서 그런지 매우 스피드 있고 시장 트렌드를 읽는 눈이 좋은 것 같다. 추가로 SERI는 일찌감치 네티즌들의 투자를 유도할 수 있는 포럼과 동호회들을 활성화시켜서 지금은 네티즌들이 운영하는 동호회들이 수천개가 될 만큼 그 활용도가 높아졌다. 또한 IMF, 벤처거품 등 굵직한 경제위기들을 겪으면서 급상승한 네티즌들의 경제지식들도 역으로 연구소들에 도움을 주는 느낌까지 들때도 있다. 그만큼 이제는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이 잘 이루어지고 있는 분야라고 생각이 된다.

2. 경제신문, 매거진
  우리나라는 참 재미있다고 생각되는 것이 하나있다. 인구 5천만은 많다면 많다고 할 수 있지만 사실 그리 많다고 볼 수도 없다. 그런데도 다양한 분야의 신문과 정보지들이 쏟아지고 있는 것은 매우 희망적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제분야의 언론은 양대산맥이라고 할 수 있는 매일경제와 한국경제가 있다. 최근에 아시아경제, 이데일리 이런 것들이 생기긴 했는데 역사가 그리 오래지 않고 비교적 종합적인 경제신문은 앞의 2개라고 생각한다. 우리나라에서 경제신문하면 다들 매일경제를 떠올린다. 나도 매일경제를 많이 보고 좋은 정보들도 많이 얻고 있다. 개인적인 생각에 최근에는 정치색을 약간 띌려고 하는 것 같은 느낌도 드는데 경제신문의 성격이 워낙 강하니 크게 무리수를 두지 않는 것 같다. 한국경제역시 많은 사람들이 구독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이런 일간지들은 시시각각 쏟아지는 뉴스들을 모아서 비교적 가치있는 정보들로 보여주는 언론이라고 생각한다.
  신문만큼의 큰 가치를 갖고 있는 것이 바로 매거진(주간지, 일간지, 계간지 등)이다. 우리나라에서는 포브스, 포춘 등 해외계열부터 시작해 매경주간지 등 다양한 매거진들이 출간되고 있다. 꾸준히 구독하면 큰 도움이 된다. (나도 하고 싶지만 아직 여건상.ㅋ)


이어서 해외편과 중국편(보너스)가 이어집니다.


반응형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신 경영+ 경제 정보의 요람 - 해외편  (0) 2009.07.16
2030 ~ 2100년은 중국의 시대!  (0) 2009.03.17
728x90
반응형
전 영국 타임지 편집장이었던 William Rees-Mogg 씨가
수차례 중국을 방문한 경험을 토대로
이제는 새로운 중국의 시대가 도래했다고 예견하는 기사네요.

중국어 기사
http://china.huanqiu.com/eyes_on_china/politics/2009-03/400801.html

영어 기사
http://www.dailyreckoning.com.au/the-new-chinese-era/2009/03/06/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