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영 4

[북리뷰] 성경대로 비지니스하기 P31 - 하형록

회사를 운영하면서 항상 부딪히는 문제들이 있다. 비지니스가 크던 작던 항상 사람이 먼저인지, 돈이 먼저인지, 아니면 내가 추구하는 어떤 가치가 먼저인지 애매하고 복잡할 때가 많다. 그래서 혹자는 심플하게 운영하라고 하고, 혹자는 어차피 한계가 있으니 되는대로 하라고 한다. 아직 얼마되지 않은 나도 그렇게 느끼는데 수년, 수십년을 경영해온 경영자들은 정말 어떤 생각일지 가히 상상이 된다. 이런 고민들을 나만 하고 있는 것이 아니었다. 친한 지인이 이런 고민을 나에게도 의논한 적이 있는데 그 해답을 찾은 것 같다며 추천한 책이 바로 하형록 회장의 책인 P31 이다. 잠언 31장(Psalm 31) 을 근거로 한절 한절을 본인의 비지니스와 접목시켜 어떻게 비지니스를 해야 하나님이 원하시는 방향으로 할 수 있는지..

책읽기 2015.11.09

최신 경영+ 경제 정보의 요람 - 해외편

해외 경영대학의 무료 경영정보 vs 해외 경영 관련 매거진, 신문 이번에는 해외편으로 소개를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각 대학의 경제 전문지 또는 사이트 1) HBR (Harvard Business Review, http://hbr.harvardbusiness.org/) 경영학과 학생이 아니더라도 이제는 실생활에서 그들의 리뷰 아티클들은 한 번 쯤 접해볼 수 있을만큼 대중화되고 친숙해져 있다. HBS(Harvard Business School)의 역사만큼이나 오랜 역사와 전통을 갖고 있는 HBR은 일부 이슈들을 제외하고는 아쉽게도 유료로 모든 아티클들을 제공하고 있다. 그래서 많은 학생들이나 독자들은 적지 않은 돈을 지불하며 가치있는 정보를 습득하기 위해 많은 노력들을 하고 있다. 다행히도 국내에는 ..

경제 2009.07.16

최신 경영+경제정보의 요람 - 국내편

경영, 경제연구소 vs 경제신문, 매거진 굉장히 오랫만에 글을 쓰는 것 같다. 요즘 집에서 한가하게 이런 저런 생각을 하다가 정보 공유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깨닫고, 조금이나마 나누고자 글을 쓰려고 한다. 경영학을 전공한 경영학도였기에, 나름 여러 case들과 정보들을 접하기 위해 이런저런 경로들을 거쳤었다. 그 중에 몇가지를 소개하고자 한다. 1. 경영, 경제연구소 내 기억엔 1990년대 중반으로 기억된다. 물론 그 이전부터 존재는 하고 있었다. 하지만, 삼성경제연구소가 이름을 드러내기 시작한게 그 때 쯤인 것으로 기억한다(SERI 홈페이지 연혁을 보니 96년도에 홈페이지가 생겼다. 그 전후로 해서 알게 된 것으로 기억한다.) 그리고 IMF 등을 계기로 사람들이 전문적인 경제 정보에 관심을 많이 갖고..

경제 2009.06.20

마케팅 삼국지

얼마전 '이동통신사의 마케팅 삼국지'라는 기사를 읽었다. 내용을 요약하면, S사와 K사가 서로 가입자를 유치하기 위해 편법을 동원해 각종 유치전을 벌이고 있는 틈을 타, L사가 번호이동을 이용해 조용히 가입자를 확보했다는 내용이었다. 이 치열한 가입자 확보 전쟁의 핵심 논제는 바로 'ZERO-SUM', 즉, 특정한 시장안에서 점유율 확보이다. 누군가 많이 얻으면 누군가는 반드시 잃는 것이 이 이론의 핵심이다. 근데 우리나라는 이런 비슷한 예가 굉장히 많다. 우선, 1. 포털사이트 NAVER, DAUM, NATE가 있다. 물론, 포털사이트는 중복가입해도 상관이 전혀 없다.(사실 핸드폰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핸드폰은 대부분 1대만 보유하므로 이 경우와는 약간 다르다) 이들의 전쟁은 우선 '처음 페이지'로 지..

Essay(隨板) 2009.03.0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