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한령 3

중국의 싸드 보복은 단체관광 금지만이 아니었다(현재도 ing)

2016년 하반기였다. 한창 피크에 오르던 한중관계가 어디까지 갈지 다들 궁금해하던 그런 분위기였다. 양국은 2천년이 넘는 역사에서 이렇게 좋은 때가 없었다며 서로를 추켜세웠다. 아직도 그 때를 추억하면 잊을 수가 없다. 그러다 갑자기... 싸드로 인해 양국 관계는 삽시간에 얼어붙었다. 특히 활발하게 교류하던 경제 분야에서 그 타격이 가장 컸다. 당시의 중국의 조치들은 (내가 생각나는) 주로 이런 것들이었다. 1) 한국 컨텐츠 금지 (방송, 출연, 제작 등) 중국에서 한류컨텐츠가 훨훨 날아다니던 시절이 있었다. 무려 중국의 대표적인 국무회의인 양회에서 한국 드라마의 영향력을 어떻게 해야할지 논의했다는 내용이 공개적으로 언급될 정도였으니 말이다. 중국 정치행사서 “왜 ‘별그대’ 같은 드라마 못 만드나” (..

중국 2023.08.16

마블 샹치 예고편을 보며 생각난 아쉬운 중국 미개봉 콘텐츠들

마블의 샹치(샹치는 尚氣 ShangQi의 중국어 발음 표기법을 사용한 것으로 기가 솟아오르다 라는 뜻이라고 한다) 가 개봉을 했다. 포스터를 보면 양조위가 주연같다. 물론 드물게 악역을 맡게된 주인공으로 나온다. 그런데 영화를 보면 악역이 아닌 것 같다는 얘기도 있다(아직 안 봐서... 보면 업데이트 할게요) 이 포스터를 보면서, 예고편을 보면서 정작 중국에서 양조위가 촬영한 영화가 중국 정세의 변화와 코로나로 인해 수차례 개봉을 연기하다가 이제는 과연 개봉을 할 수 있을까 생각이 드는 영화가 떠올랐다. 바로 중국 본토 영화인 여우사냥 (Fox Hunt, 猎狐行动) 이다. 여우 사냥이라는 말은 중국 공산당이 부정부패한 고위 간부 또는 유명인사가 해외로 도피했을 때 쫒아가서 검거해오는 일종의 검거작전을 지..

중국 2021.08.28

[중국 동영상 보기 2편) 유튜브에서 중국 플랫폼(유큐, 아이치이, 텐센트TV 등)의 컨텐츠 보기

중국은 아시는 분은 아시다시피, 해외 사이트 특히 글로벌 포털, 동영상 플랫폼 등 많은 해외 사이트가 차단되어 있다.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인스타그램 같은 SNS는 물론 유튜브 같은 동영상 사이트, 구글이나 네이버 같은 검색엔진도 차단되어 있는 폐쇄적인 곳이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모든 중국인들이 이런 해외 사이트를 사용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 페이스북이나 인스타그램을 봐도 꽤 많은 중국인들이 계정을 사용하고 있고, 원하는 사람들은 카카오톡이나 라인, 페북 채팅 같은 글로벌 메신저 프로그램들도 자주 사용한다. (물론 이걸 사용하려면 VPN을 쓸 줄 알아야 한다.) 중국도 얼마전부터 모바일 5G 서비스를 시작했다. (우리나라도 마찬가지지만 진짜 5G가 되려면 아직 멀었을 거다) 4G 보다는 그래도 조금이..

중국 2021.02.05
반응형